<마을탐방> ‘스토리’가 관광자원이다

본지는 무안지역 ‘스토리텔링’ 발굴 일환으로 지역의 전설 및 마을 유래담을 연재합니다.(마을탐방은 무안향토사연구소 백창석 소장의 현장 탐방 기고로 이루어집니다) -편집자주-

청수리는 광주 목포간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다. 비교적 낮은 구릉지대로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이서면 작천과 작천리 그리고 신흥동으로 나온다. 1912년의 자료에는 이서면 상작천과 하작천 남안동 상천동 신흥동 청수동 등이 기록되었다. 이후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서 1917년의 자료에는 청계면 청수리 청수동 신흥동 연천리 상작천 등으로 나온다. 里 전체가 도요지였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도 나오는 陶器所가 있었다. 현재는 청계1농공단지가 들어서 있으며 상작촌에 무안박씨제각, 정씨제각 김해김씨 제각이 있다. 신흥동과 상작천으로 이루어졌다.

▲ 상작천 마을 전경

▲까치내와 제비내로 이루어진 마을

상작천은 청수2리에 속하는 마을로 까치내(上鵲川)와 제비내(燕川)로 이루어졌다. 이 마을은 마을의 형국이 까치와 제비를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멀리서 보면 이 마을 주변이 제비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까치가 의좋게 자리 잡은 형국인데 윗 마을을 상작천이라 부르고 아랫 마을인 상천동 주변의 마을을 하작천이라 불렀다.

마을 앞으로 흐르고 있는 태봉천은 현재는 좁은 수로이지만 예전에는 마협봉의 큰 줄기에서 많은 물이 흘러내렸기 때문에 상당히 큰 하천이었다. 그런데 드물게도 이 하천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逆水이다. 이 태봉천을 중심으로 주변 마을에 새 이름의 지명이 많다. 송현리 솔치 마을의 솔개 상작천의 까치 연천의 제비 남안동의 기러기가 그것이다.

이 마을의 입향조는 뚜렷하지가 않다. 마을유래지에는‘1586년 진주 강장자라는 사람이 살기 좋은 마을을 찾아 이곳저곳 돌아다니다 이곳에 도착하였는데 이른 아침 까치 소리를 듣고 까치 동우리 밑에 집을 짓고 정착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주민들은 모르고 있었다.

하지만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오래 전에 압해김씨(시조 金會景은 신라 제56대 敬順王의 第2子 굉의 6세손(羅州金氏分派)이다. 그의 후손들이 본관을 押海로 하였다) 들에 의해서 마을이 크게 발전하였다고 하나 지금은 후손들이 이 마을에 살고 있지 않다. 현재 이 마을에는 김해김씨 무안박씨 문화유씨 달성배씨 등 복합성씨들이 살고 있다.

▲ 상작천 마을 선돌
마을에 선돌이 있다. 현재 마을 앞 정자가 있는 곳을 선독골이라 부르는데 그곳에 선돌이 있었다. 자연석 규모로 높이 120㎝ 두께 14㎝의 크기이다. 주민들은 태봉 마을 뒤에 엎드려 있는 호랑이로부터 이 마을의 까치를 보호하고 전염병 등 액막이 기능을 하기 위해 마을 입구에 선돌을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길 확포장 공사 때 이 선돌이 땅에 묻혔으나 주민들이 다시 세웠다. 선돌과 관련된 특별한 제의는 없다. 주민들은 이 선돌을 할아버지 선돌이라 하고 선독골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입석을 할머니 선돌이라 불렀다. 하지만 할머니 선돌은 현재는 없다.

▲마을 전체가 도요지였다

마을에는 이런 액막이 구실을 했던 시설물이 또 있었다. 이른바 섬등이라 불리는 7개의 흙동산이 마을 앞에 있었다. 섬등은 마을 앞 농경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벌려 있었는데 경지정리하면서 모두 없어져 버렸다. 아랫 마을인 상천동에 칠성바위가 있었고 한국지명총람에 남안리 부근의 칠성동이란 지명이 있는 것을 보면 칠성신앙과 관련된 어떤 것이 있어 보이나 확인할 수 없다.

마을을 둘러싸고 외얏골 까골 강당골 터골 등 4개의 큰 골짜기가 있다. 외얏골은 현재 청계농공단지가 들어있는 자리로 예전의 이곳은 도요지와 기와공장이 있었던 자리이다. 까골은 마을 뒤 골짜기로 주변에 교회 묘지 등이 있다. 강당골은 무안 박씨 제각을 강당으로 부르는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제비내 북쪽 주변에 터골이 있다.

이 마을은 전체가 도자기 산지처럼 보인다. 마을 주변의 밭이나 산에서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고 보면 자기 파편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외얏골에 도요지와 기와공장이 있었을 뿐 아니라 이웃 마을인 청수동과 신흥 마을에서는 많은 도요지를 발견하기도 했다. 특히 세종실록지리지에도 도기소로서 청수리의 기록이 나올 정도로 이 지역은 예전부터 도자기 집산지였다. 이웃마을인 서호리 연소동에서 질 좋은 점토가 발견되고 근래에는 청계농공2단지 공사장에서 넓게 퍼진 백토 층의 광맥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 마을 앞으로는 거대한 석회층의 水脈이 지나고 있어 가끔 지반이 꺼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수맥은 무안읍 중사지의 못샘을 거쳐 화설당 샘-농공단지 샘-상마정 샘-그리고 남성리의 시여샘으로 연결되는 흐름을 갖고 있다.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샘물이다.

하지만 이 물 속에는 석회성분이 많아 소들을 키우지 못했다. 왜냐하면 이 물을 먹고 자란 소들은 성격이 난폭해지고 사나워지기 때문이다. 텃골 앞에 감샘이라는 샘이 있다. 무안의 못샘 못지 않은 수량과 맛을 가지고 있는데 지하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마을에는 정씨제각 김해김씨 제각 무안박씨 제각 등 세 개의 제각이 있다. 또한 솔대배미가 있었다. 주민들은 선독골 옆을 솔대배미라 하는데 솔대배미는 조선시대 마을에서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나올 때 그를 자랑하기 위해서 특별한 표시를 하며 기념하는 자리이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어

마을에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많다. 해서 어느 마을보다도 젊은 사람이 많다. 유치원생부터 초등학생 중학생 등을 볼 수 있어 주민들 자랑이 대단하다. 뿐만 아니라 20여년 전까지만 해도 청계면에서 가장 낙후되었던 마을이었는데 주민들의 부지런함과 단합된 힘으로 오늘날에는 청계면에서 가장 잘 사는 마을로 바꾸었다.

마을 주변에 세 군데의 고인돌이 있었다. 그중 한군데는 밭을 경작하면서 없애버리고 제비내 마을을 포함한 두 군데에 각각 두기씩 남아있다. 목포대학교 자료에 따르면 이 마을에 유적과 유물이 마을 주변에 넓게 산포하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특히 마을 뒷산에서 북동쪽으로 흘러내리는 구릉부의 사면부에 해당하는 곳에서는 옹관 및 회청색경질토기편 그리고 석부 등이 수습되었다. 이곳은 과거 해안선에 맞닿은 곳이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