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무안지역 ‘스토리텔링’ 발굴 일환으로 지역의 전설 및 마을 유래담을 연재합니다.(마을탐방은 무안향토사연구소 백창석 소장의 현장 탐방 기고로 이루어집니다) -편집자주-

 斜川里는 몽탄면소재지에 위치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또한 초등학교 등 면단위 공공기관이 들어서 있으며 만복동과 봉서동 앞으로 811번 지방도로가 지나고 있다. 본래 무안군 박곡면 지역으로 1910년 목포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죽림동, 간기곡리, 매곡리, 월천, 우적동 등을 합하여 무안군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만복동, 사내, 봉서동 등으로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사천리는 모래내[沙川里]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사천리 관련 자료들을 조사해 보니 빗기내 즉 斜川里로 써야 맞는 표기다. 여기에는 네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마을의 지형이 하천을 비껴서 자리 잡았다. 두 번째는 사내 마을 입향조의 호가 마을의 이름을 딴 斜川이다. 세 번째는 마을에 있는 나주정씨 재각인 수재정의 현판에도 빗기내[斜川]로 나온다. 네 번째 이유는 1789년에 나온 호구총수에 박곡면 斜川里로 나온다. 현재의 沙川里란 표기는 일제강점기 때 바뀌어진 명칭으로 볼 수 있다.

▲봉황이 깃든 마을봉서동은 사천3리에 속하는 마을로 간기곡 봉서동 계서등 오동뫼 등으로 이루어졌다. 艮己谷의 간기는 풍수지리에서 북동쪽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영산강에서 바라보았을 때 간기곡은 북동쪽에 자리 잡은 마을이어서 붙여진 지명으로 보인다. 주민들은 강거실이라고도 부른다.

봉서동은 사천3리에 속하는 마을로 간기곡 봉서동 계서등 오동뫼 등으로 이루어졌다. 艮己谷의 간기는 풍수지리에서 북동쪽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영산강에서 바라보았을 때 간기곡은 북동쪽에 자리 잡은 마을이어서 붙여진 지명으로 보인다. 주민들은 강거실이라고도 부른다.

鳳棲洞은 봉황이 깃들어 있다는 마을이다. 몽탄면의 주산인 건지봉이 마을의 뒷산이다. 이 산의 맥이 마을을 감싸고 영산강을 향해 힘차게 뻗어 내리는데 이를 봉황으로 본 것이다. 봉황은 대나무 열매인 죽실을 먹으며 오동나무에 앉아 단샘물을 마신다는 상상의 새로 풍수비보에 많이 인용되는 새이다.

鷄棲등은 닭이 살고 있는 형국의 마을을 말한다. 마을 옆의 몽탄초등학교가 닭의 형상으로 운동장에서 길을 향해 튀어나온 부분은 예전에 높이가 있는 언덕이었다. 해서 이 언덕 주변을 계서등이라 한다.

梧桐뫼는 오동나무가 심어져 있는 산을 말하는데 봉서동과 풍수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다. 현재 무안요가 자리 잡고 있는 마을이며 대나무와 동백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다. 산 위에는 마당 바위가 거북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주민들은 독배기 오동뫼라 부르기도 한다.

문헌으로 살펴 본 이 마을 관련 지명의 유래는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박곡면 간기곡만 나온다. 이후 1912년의 자료엔 박곡면 봉서동 간기곡리 등이 나오고 1917년의 자료엔 박곡면 사천리 간기곡만 나오다 1987년의 자료엔 몽탄면 사천리 봉서동으로 나온다.
  
▲목포형무소 탈옥 사건의 현장
이 마을의 입향조는 뚜렷하지가 않다. 여러 성씨가 어울려 사는 복합성씨의 마을로 이중 정착연대가 오래된 성씨를 보면 나주정씨 나주김씨 김해김씨 이천서씨 등이 있다. 이 성씨 중 어느 성씨가 먼저 들어왔는지는 확인할 수가 없다.

마을은 건지봉을 주산으로 하고 있으며 마을 앞은 곤바대와 오동뫼로 불리는 들이 있다. 곤바대는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로 간기곡과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예로부터 이 들[野]은 만 호가 살 수 있다는 들로 원래 구산리에 있는 몽탄중학교가 들어설 예정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예정지의 땅 주인이 동의를 하지 않아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마을 위로는 서해안 고속도로가 지나고 있는데 고속도로에서 나는 소음이 심해 예전의 고요하고 아늑했던 마을의 모습은 아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마을에는 일본식 집이 한 채 있는데 일제 강점기 때 30여 년 동안 몽탄면장을 역임 했던 정대현씨의 집이다. 전형적인 일본식 집으로 벽장이 모과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전쟁 때는 인민군 사무실이었으며 지하실은 많은 사람들이 몸을 숨겼던 피난처이기도 하였다.

사천리 일대는 가마터가 많다. 윗 마을인 사내 마을에 확인된 것만 3기의 가마터가 있고 이 마을에도 두 기의 가마터가 있다. 무안요가 있는 오동뫼와 간기곡 뒤 골짜기에 흔적이 있다. 지금은 없어진 조그마한 시장이었지만 마을 앞이 장터인 적이 있었다. 원래 몽탄 장터는 구산리에 있었으나 이곳으로 옮겨 온 것이다. 이 마을을 둘러싼 지명 중에 동물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많다. 초등학교는 닭 파출소는 꾀꼬리 면사무소는 두꺼비 그리고 오동뫼는 거북이의 형상을 하고 있다.

간기곡 마을 입구는 목포형무소 탈옥 사건 때 탈출했던 사람들이 총살을 당했던 자리이다. 목포형무소 탈옥 사건은 1949년 9월에 일어난 사건으로 죄수들 중 상당 부분이 제주 4·3 항쟁과 여순 항쟁에 관련된 사상범 들이었다. 당시 탈옥자들은 일로 방면으로 도망쳤는데 숲이 많은 이곳 사천리 일대에 숨어 있다가 잡힌 것이다. 당시의 경찰들은 현장에서 탈옥자들을 사살하고 이 마을 주민들을 동원하여 시신을 묻게 했다. 당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었는지 인근 밭을 경작할 때 조금만 깊이 파면 많은 탈골한 사람의 뼈들이 나왔다고 한다. 

이 마을은 정이 넘치는 향기로운 마을이다. 주민들의 화합이 잘 될 뿐 아니라 협조도 잘 이루어져 서로 얼굴 붉히는 일이 없어 주변 마을의 부러움을 사기도 한다. 새해에는 온 주민이 마을회관에 모여 75세 이상의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리고 떡국을 대접하며 건강을 기원하기도 한다. 그날은 세배 돈을 받기도 하는데 그 돈을 모아서 마을 경비나 경로잔치에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다른 마을에 비해 회관이 늘 깨끗하다. 주민들이 스스로 순번을 정해 청소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마을은 사법고시 출신자를 비롯하여 상당수의 공무원을 배출하기도 했다. 오동뫼에 있는 무안요는 도자기 명장 김옥수가 운영하는 공방이다. 무안요 밑으로 고령토의 맥이 지나고 있으며 뒷산은 주변에서 보기 드문 명당이 자리 잡고 있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