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무안지역 ‘스토리텔링’ 발굴 일환으로 지역의 전설 및 마을 유래담을 연재합니다.(마을탐방은 무안향토사연구소 백창석 소장의 현장 탐방 기고로 이루어집니다) -편집자주-

竹山里는 산에 대[竹]가 많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일로읍 소재지에서 남으로 약 2㎞ 떨어진 거리에 있으며 죽산, 양지촌, 당월촌, 도장포, 영화정, 삼천동 등 6개의 마을로 이루어졌다. 원래 무안군 일로면 지역이었으나 1910년 목포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영화정리, 정월동, 도장동, 양지동, 당월촌, 사량동, 무포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다시 무안군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당월촌에 자방포 관련 영친왕궁언장비와 경선궁혁폐선정불망비가 있다.

▲영화정마을 전경

▲마을에 정자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
영화정은 죽산5리에 속하는 마을로 정자가 있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 이 마을은 장수 황씨 터였다. 지금은 황씨들이 한 세대도 없지만 전해오는 이야기나 주변의 무덤들을 보면 이곳에 황씨들이 많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황씨들은 청호리를 비롯하여 망월리 죽산리 주변에서 살아온 흔적이 많지만 구체적인 자료가 없어 정리에 안타까움을 느낀다. 현재는 전주이씨들과 해주오씨가 살고 있다.

영화정은 죽산5리에 속하는 마을로 정자가 있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 이 마을은 장수 황씨 터였다. 지금은 황씨들이 한 세대도 없지만 전해오는 이야기나 주변의 무덤들을 보면 이곳에 황씨들이 많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황씨들은 청호리를 비롯하여 망월리 죽산리 주변에서 살아온 흔적이 많지만 구체적인 자료가 없어 정리에 안타까움을 느낀다. 현재는 전주이씨들과 해주오씨가 살고 있다.

이 마을은 솔이동 청골(정월동) 큰 마을로 부르는 영화정으로 이루어졌다. 마을은 주변의 산들로 둘러싸여 있어서 아늑한 느낌을 준다. 잔등산을 주산으로 하고 왼쪽엔 솔이동 오른쪽엔 달몰이(달이 지는 곳이란 의미) 그리고 앞에는 큰 봉이 자리하고 있다. 큰봉 너머에는 망매산(망모산)이 있으며 청호리에서 마을로 넘어오는 고개를 당재 또는 장재라 부른다. 

▲멀리 보이는 망매산
영산강이 막히기 전까지는 마을 앞까지 물이 들어왔으며 마을 옆 바윗등에는 배를 메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당시 주민들은 농지가 없어 대부분이 강에서 고기를 잡거나 목화 등 밭곡식을 경작하며 생활해 왔다. 현재 마을 앞으로는 서해안 고속도로 일로 나들목에서 광양까지 연결되는 한반도 서남부의 L자형 도로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또한 마을 주변으로는 철로 건설이 계획되고 있어 주민들은 개발에 대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었다. 

마을의 입향조가 뚜렷하지 않다. 마을유래지에는‘입향조는 전주 이씨 이진만으로 대대로 살아왔던 영광 묘장에서 龍巳의 亂을 당해 동생 종만과 함께 화를 피해 이곳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데서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 이후 100여년이 지나서 해주오씨가 입촌하여 먼저 자리 잡은 이씨와 함께 자손을 늘려갔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주민이 갖고 있는 전주이씨 족보에서는 이진만을 찾을 수가 없었다. 마을의 전주이씨 후손들에게 물어봐도 처음 듣는 이름으로 잘 모르겠다고 한다.

하지만 향교지에는‘李鎭萬은 성균진사로 영광 묘장에서 세거하다가 임진왜란을 당하여 아우 종만과 더불어 이 마을로 피난을 와 정착하였다. 공은 일찍이 이율곡의 문하에서 수업하여 어린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쳤다. 불행히도 난을 만나 뜻을 펴지 못하고 이곳에서 자연에 묻혀 생활을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배출 인물이 많은 장수마을
일로에 전주이씨가 처음 들어온 것은 망월동의 입향조 이준마(1565-1629, 자-경보, 호-노암)이다. 노암 공은 임진왜란을 피하여 이곳으로 들어왔는데 영화정 마을의 입향조 기록과 비교해보면 동시대에 입향하였지만 확인할 길이 없다. 하지만 주민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추정해본 결과 이 마을에는 1700년대 중반에 전주이씨가 들어오고 그와 인척 관계를 맺어 1800년대 중반에 해주오씨가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마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해주오씨 입향조는 오연영(1805-1868)으로 남악리에서 이주한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로 문헌을 통해서 地名을 보면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무안현 노촌면 正月洞이 나온다. 1912년의 자료엔 정월동리가 빠지고 무안군 일로면 영화정이 나온다. 이후 1917년의 자료엔 무안군 일로면 죽산리 영화정으로 나온다.

▲마을 입구 유산각의 구수나무
마을 앞길은 영산강 건너 영암과 연결되는 군사작전도로(국지도 49호선)가 지나고 있다. 이 길은 청호 주룡 나루와 연결 돼 옛날에는 영암 사람들이 일로 장을 보러 다니는 큰길이었다. 현재 마을회관이 있는 자리에 유산각이 있어 지나가는 길손들이 쉬어갔던 자리이기도 하다. 이 유산각 이름이 영화정 이었는데 이것이 마을이름이 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정자주변에는 수십 그루의 구수나무가 있어 풍광이 좋았으나 길이 확장되면서 모두 베어버리고 지금은 두 그루만 남아있다.

길옆에 있는 저수지는 일제강점기 때 미야자키라는 일본인이 주도하여 축조하였는데 그 속에는 성재샘이라 부르는 물이 잘 나오는 샘이 있었다. 또한 잔등산 기슭에는 죽산초등학교로 불렸던 일로초등학교 죽산분교가 있다. 이 학교는 일제강점기 때 세워진 마을 뒤 간립 학교에서 옮겨 온 학교인데 2010년 2월 일로초등학교로 통폐합되었다. 솔이동 옆에는 무덤골이라 부르는 공동묘지 터가 있다. 그 주변에는 호랑이 굴과 호랑이 바위가 있으며 옹기를 구웠던 점등도 있다. 지금도 점등 주변을 파 보면 많은 옹기 조각들이 나온다.

이 마을에는 자랑이 많다. 우선 풍수적 지형이 좋아 인물이 많이 나왔다. 한 마을에서 3명의 판사가 나왔을 뿐 아니라 관료나 교육자들도 많이 배출되었다. 풍수지리를 아는 사람들은 일부러 이 마을로 이주 해 정착하면서 성공한 사람들도 있다. 또한 장수 마을이다. 현재 마을에 살고 있는 주민이 40여명인데 그중에서 80세가 넘은 노인이 16명이나 된다. 모두 얼굴이 곱고 정정하다.

마을에 교회가 있다. 주민들 대부분이 교회와 천주교를 다니며 신앙생활을 하고 있어 표정들이 편안해 보인다. 해서 범죄 없는 마을로 알려졌고 주민들의 소리가 담 밖을 넘지 않는다고 하며 요즈음에는 주민들 스스로 대문을 없애고 있다고 한다. 특히 이 마을 출신 향우들은 성금을 조성하여 마을주민들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있어 주민들의 자랑이 대단하다.

남은 지명으로 깨정골이 있으며 마을에서 구정리 소댕이로 넘어가는 고개인 소댕이재가 있다.

참고로 마을에서 부르는 망매산은 망모산의 다른 이름이다. 청호리와 죽산리 그리고 망월리가 이 산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나주나씨의 집성촌인 청호리 주룡 마을에서만 망모산으로 부르고 나머지 마을에서는 대부분 망매산으로 부르고 있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