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향토사연구소 백창석 소장

본지는 무안지역 ‘스토리텔링’ 발굴 일환으로 지역의 전설 및 마을 유래담을 연재합니다.(마을탐방은 무안향토문화연구소 백창석 소장의 현장 탐방 기고로 이루어집니다)<편집자주>

月仙里는 청계면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4㎞ 정도 떨어져 있는 지역으로 북쪽으로 승달산이 자리 잡고 있고 앞으로는 청계-일로간 815번 지방도로가 지나고 있다.

원래 무안군 일서면 지역으로 월선 혹은 월선동이라 불려 지다가 1910년 목포부에 편입되었고 1914년의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낙산동 중화리 노월촌 일신동 지정 학천동 수정동 수월동 신촌 대치 일부를 병합하여 월선리라 하였다. 월선리는 무안의 4대명당 중 雲中囚月의 길지가 있다고 믿어지는 곳으로 전설과 명당터가 많이 있다. 그래서인지 마을 이름에 月자가 들어간 마을이 월선동 수월동 노월촌 등 세 군데나 된다. 현재 월선리는 2006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지로 선정되어 풍요롭고 건강한 농촌마을을 가꾸고 있다.

■雲中囚月 仙人舞袖 老鼠下田의 길지

월선1리는 수월동 수정동 학천동 월선동 등 4개 마을로 이루어졌다. 이중 학천동은 가장 늦게 형성된 마을이다. 현재 수정동에는 1가구가 수월동에는 2가구가 살고 있으나 학천동과 월선동에는 많은 주민들이 살고 있다. 특히 얼마 전까지는 마을 주민들이 줄어 들었으나 현재는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자리를 잡으면서 세대수가 늘어나고 있다.

월선동 마을의 입향조는 400여년 전에 임진왜란을 피해 이곳에 터를 잡은 김해김씨 金命哲이다. 이후 상당기간 김해김씨 동족마을로 내려왔으나 현재는 여러 성씨들이 모여 살고 있다. 문헌을 보면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마을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1912년의 자료엔 무안군 일서면 水月洞 水淨洞으로 나온다. 이어 1917년의 자료엔 무안군 청계면 월선리 월선동 수정동 수월동으로 나온다. 마을유래지에서는 [토끼산] [비친암골] [월구정] [소잔등] [토끼바위] [은락골] 등으로도 불렸다고 기록하고 있다.

도선국사의 유산록에도 나오는 월선동은 명당터가 많은 마을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명당만 해도 수월동의 雲中囚月 월선동의 仙人舞袖(仙人讀書라고도 함) 월선동 앞의 老鼠下田의 자리가 있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좋은 터가 있어서인지 한때는 무안에서 유일하게 5천석의 부자가 살았던 곳이기도 하다. 인

雲中囚月은 구름 속에 달빛을 가두고 선인무유(仙人舞袖)는 선인이 옷소매를 들어 올리며 춤을 추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마을 앞의 老鼠下田(노서하전)은 늙은 쥐가 풍요로운 곡식을 먹고자 밭으로 내려오는 지형을 말함이니 부자가 나올 터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해서 월선동은 무안의 4대 명당 중 한 마을에 해당된다.

도선국사는 신라말의 승려로서 음양지리와 풍수지리로 우리 민족의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분으로 노서하전의 명당은 도선국사의 전설에서 비롯된다. 또한 마을 뒤에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법천사가 자리하고 있어 마을 곳곳에 스님과 관련된 흔적들이 많이 있다.

■따뜻하고 아늑한 기운의 마을

월선동은 호남의 명산인 승달산을 뒷산으로 하고 있어 마을을 감싸고 있는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마을 곳곳에 스며있는 따사로운 기운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아늑한 느낌을 준다.

마을 앞에는 1980년 무렵에 축조한 저수지가 있다. 주민들은 이 저수지가 마을에 복을 가져다 주고 있다고 믿고 있다. 왜냐하면 저수지가 없었던 1980년 이전에는 마을이 매우 가난하게 살았는데 저수지가 만들어지면서 마을이 생기를 찾게 되고 주민들이 잘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

원래 마을에는 4그루의 당산나무가 있었으나 이제는 두 그루만 남아 있다. 주민들은 입향조가 심었으리라 추정되는 당산나무에 당산제도 지냈었으나 현재는 지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월선리의 대표적 당산제인 전조제가 2구와 3구 주민들 중심으로 지내왔으나 앞으로는 1구 주민들도 함께 참여하여 지낼 예정이라고 한다.

마을은 현재 매우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어 예전의 조용하고 아늑했던 모습이 사라져 가고 있다. 2006년에 월선리가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지로 선정되면서 농촌문화마을 모범생태마을 살기좋은마을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월선동 마을은 2009년도에 한옥마을로 지정되면서 마을 곳곳에 한옥이 들어서 예전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마을에는 장수마을 지정 상금으로 건축한 수월황토방과 수월당산야초농산물가공장이 있다. 또한 마을 뒤에 김해김씨 제각인 균시재(均視齋)가 있다. 정면 4칸에 팔작지붕으로 5개의 주련이 걸려있다. 특히 현판의 글씨는 남농 선생의 글씨로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남아있는 지명들이 많다. 수정동과 수월동으로 갈라지는 삼거리에 옥토망월(玉兎望月, 토끼가 달을 바라보는 형국)이라 부르는 바위가 있다. 지금은 잡초에 우거져 있어 형태를 찾아보기가 힘들다. 또한 주변에는 농바위, 가마바위 등의 바위가 있다.

개밥골, 현재 다목적회관이 들어서 있는 숙녀골, 노서하전의 길지가 있는 거서골, 시너골 뱅이재 외얏골 무덤골 홍골재 남산재 시치막골 비시막골 텃골 북재 큰골 수도골 대나무골 말머리 혹골재 운낙골 등이 있다. 이러한 많은 골짜기마다 암자가 있었으며 실지로 암자터와 흔적들이 발견되고 있다. 월선동 안에도 가재미 고래미 잿등 천석궁터의 지명이 있다. 또한 수월동에서 목포대로 넘어가는 고개를 상대미재라고 하는데 이곳에 상대암이 있었던 곳이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