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지자체 11곳 등 18곳 ‘소멸’ 위험…여수·나주도 포함
고령화 비율 30% 달해…청년 비율 15.2%·조출생률 매년 감소
통계청, 호남권 지방 소멸 변화상 발표

[무안신문=박금남 기자] 전남 22개 시군 중 목포, 순천, 광양, 무안을 제외한 18곳 시군이 소멸 위험지역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11곳은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됐고, 시 단위인 여수와 나주도 소멸 위험지역에 포함돼 소멸 속도가 빨라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는 청년은 없고 초고령사회가 깊어지면서 전남 대다수 시·군은 20년간 소멸위험도가 3배 가까이 증가했고, 지자체들의 다양한 인구유입 정책들이 헛바퀴를 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지난 26일 발표한 격자 통계로 본 호남권 지방소멸 변화상(2021년 기준)에 따르면 지방소멸위험지수는 전남 0.36으로 20년 전과 비교해 모두 소멸 위험도가 높아졌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내국인 상주인구 기준 만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상대적 비를 지수화해 적용한 수치로, 낮을수록 지방 소멸 위험도가 높다. 단계별로 낮음(1.5이상), 보통(1.0∼1.5미만), 소멸주의(0.5∼1.0미만), 위험 진입(0.2∼0.5미만), 고위험(0.2미만) 등 5단계로 나뉜다. ‘위험 진입’과 ‘고위험’ 지역을 소멸 위험지역으로 통칭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 전남은 고흥(0.10), 신안(0.11), 보성(0.12), 함평(0.13), 구례(0.14), 진도(0.16), 강진(0.17), 완도(0.17), 장흥(0.17), 곡성(0.18), 해남(0.18) 등 11곳은 고위험 지역(0.2미만), 장성(0.22), 담양(0.22), 영광(0.25), 화순(0.28), 영암(0.30), 여수(0.46), 나주(0.47) 등 7곳은 위험진입((0.2∼0.5미만) 지역으로 구분됐다. 나머지 목포(0.56), 무안(0.60), 순천(0.69), 광양(0.71) 등 4곳은 소멸 위험지역에서는 제외됐지만 언제든 위험지역으로 악화될 우려가 높았다. 특히, 이번 조사에 따르면 도내 전체 위험 지수를 20여년 전과 비교하면 2000년은 0.97로 보통 기준인 1에 육박했으나 점점 악화해 2010년 0.50으로 위험지역으로 진입한 뒤 2018년은 0.43, 2020년은 0.39까지 떨어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이번 지방소멸 변화상 통계는 공간 정보를 활용한 시각화 서비스를 위해 동일 간격으로 구획된 격자 영역을 집계해 제공하는 격자 통계를 적용했다”며 “전남지역은 지방 소멸 위험도가 갈수록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만큼 관련 대책이나 복지 등 정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지역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에 들어간 가장 큰 이유는 인구감소 때문이다.

전남의 지난 7년간(2015~2021년) 연평균 인구증감률은 –0.29%이었다. ‘소멸 위험지역’의 연평균 인구증감률 -0.44%보다 더욱 심각했다.

2021년 고령화 비율은 24.5%로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전체인구의 20% 이상)에 진입했고, 전남 내 소멸 위험지역 고령화 비율은 29.8%로 지역 소멸화가 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21년 전남 청년 비율은 15.2%에 불과했고, 이중 소멸 위험지역은 13.2%로 청년 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2021년 호남권 청년 순이동률은 -3.6%로 2015년 이후 지속적인 청년 순유출 추세를 보였다.

소멸 위험지역 사업체 구성 비율은 농림어업, 광업·제조업 종사자 구성비가 64.7%로 높은 것도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떠나는 요인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