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신문] 6·1 지방선거가 1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 땅의 지역정치 지도자들은 주권자인 국민(군민)을 위해 얼마나 값지고 내실 있게 지방 정치를 펴왔다고 할 수 있을까?

또 지자체 ‘풀뿌리 민주주의’ 주권(자치권)은 지방자치 부활 후 30년이 넘은 지금 군민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는 얼마나 나아졌을까?

지방자치는 지역의 문제를 풀고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치, 행정, 언론, 시민사회 등의 제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역할을 다하고 있는지도 의문부호다.

행정을 견제하는 시민단체 하나 없는 무안의 실정은 기득권들의 점유로 늘 끼리끼리 정치판이 발목을 잡았다. 선거 때면 반복되는 편 가르기 갈등 유발에도 군민들의 주인의식은 의외로 희박했다. 군민들은 얼마나 주인이라고 느끼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기득권들은 줄서기로 상호 헐뜯고 모략하고 권력층에 기생충처럼 붙어 있다가 또 다음 선거가 되면 상대 후보의 인간성까지 말살하는 우려먹기식 전파 숙주 역할을 반복하고 있다.

어릴 적, 마을에 미친년(그 시절의 인권의식 수준)이 오면 아이들은 소리치며 돌멩이를 던지곤 했다. 지금이라면 폭력이지만 1970년대 시골의 풍경은 대개 그러했다. 비밀도 없었다. 누구 아버지, 어느 집 며느리나 딸들에 대한 소문이 하루가 멀다 하고 돌았다. 서로를 잘 알기 때문에 농촌 마을에는 사생활이 없었다.

그리고 시골은 많이 달라졌다. 평생 함께 늙어온 어르신들 몇 명 남아 뒷담화 할 사람도 없다. 그런 사생활 뒷담화가 요즘은 인터넷상으로 옮겨와 들끓는다.

선거가 막바지로 가면서 “네가 죽어야 내가 산다”는 식으로 상대 후보들 사생활 이야기가 나돈다. 예전 선거에 비해 네거티브는 크게 줄었지만 예나 지금이나 달라진 게 없다. 특히, 유트브나 SNS에 떠도는 네거티브는 모르는 사람에게까지 전파된다는 게 문제다.

이제는 우려먹는 사생활쯤은 모르쇠로 덮어 두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다. 선거에 나온 후보라면 오십보 백보다. 이 각박한 세상에 우리는 누구도 건드려서는 안 되는 개인의 사생활 공간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당신도 나도 숨을 돌리고 퍽퍽한 현실을 견뎌낼 수 있고, 그런 시간 덕분에 나머지 긴장의 시간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준비도 안된 일부 후보들이 어쩌다 공천을 받아 당선되면 신분상승만 노려서도 안 된다. 권리 위에 잠자고 있는 자는 보호할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삶은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상생활에서 사람들 사이의 관계가 소원해지거나 갈등이 불거질 때 그 원인을 ‘소통의 부재’로 들며, 관계 개선 대안으로 소통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의사소통을 통해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바로 ‘배려’이다.

이번 당선자들은 척박한 지역사회에 새로운 희망을 만들기 위한 지방자치의 본질부터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바야흐로 인공지능(AI) 시대다. 모든 것이 선진화되고 개선되며 빠르게 변하고 있다. 생활정치 실현은 민주주의 기본원리인 자기통치가 주민의 지역참가를 통한 자치로 실현되는 것이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민주주의는 우리들이 일상을 사는 생활 현장에서 이뤄져야 마땅하다.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주인의식이 깬 투표로 코로나로 인해 힘든 요즘 미래의 희망을 싹 틔웠으면 싶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