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은 첫째로 생산이 매우 안정적이지 못하다. 자연의 섭리에 따라 풍흉이 좌우되기 때문에 수급조절이 어렵다.

둘째로 유통이 다단계라 생산자와 소비자가 동시에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생산지 가격은 싸고 소비지 가격이 비싼 것은 유통과정에서 업자들이 생물이라는 약점을 이용하여 농락하는 것도 한 요인이다.

셋째로 보관이 어렵다. 농산물은 장기보관이 어려워 공산품에 비해 불리하다. 공산품은 전원만 내리면 생산이 올스톱 될 수 있지만 농산물은 파종하다보니 시세가 불투명하다고 갈아엎기가 쉽지 않다. 유통 역시 대리점 등 네트워크가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통 비용이 절감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농자(農子)를 보면 굽을 곡자 아래 별진을 하는 형국이다. 선각자인 다산 정약용 선생은 사농공상(士農工商) 직업 중 농자(農者)를 가장 우대하라고 설파했다. 이유는 수리시설이 부족한 천수답(天水沓)을 경작하는 농민이 가뭄에 허리를 굽혀 풍년을 기원하기 때문에 농자가 하늘을 외경하는 뜻이다. 곧 새벽에 허리 굽혀 별을 보면서 풍년을 기원하던 모습을 글자로 표현한 것이라는 전설이 있다.

이를 해결하는 길은 정부가 농업에 지원하는 않으면 공산품과 경쟁할 수 없다.

WTO(세계무역기구)는 농업에 금지보조와 허용보조 규정이 있다. 금지보조는 정부가 농산물 수매로 양특적자가 발생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허용보조는 직접 또는 변동 직불제를 허용하고 있다. 정부가 의지만 있다면 허용직불제를 통해 생명산업인 농업을 살릴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WTO를 핑계 삼아 농업보조를 기피하고 있다.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쟁이 발발하였을 때 식량 자급이 준비되지 않아 외국에서 선박으로 군량미를 조달한다고 가정하면 적군이 잠수함으로 공격할 때 우리는 전쟁에 죽는 것이 아니라 굶어 죽게 될 것이다.

한중 FTA에서 조심해야 될 것은 점진적으로 관세를 철폐하여 자유무역을 하면 우선은 반도체, 전자제품, 조선 등에서 우리가 앞서 국익이 될지 모르지만 장차 중국이 공업을 발전시켜 무역이 역조된다면 농산물은 천덕꾸러기가 될 것이 명약관화하기 때문에 마냥 좋아할 것이 아니다. 농업이 파괴되면 생태계의 변화로 환경은 말이 아닐 것이다. 당장에는 고비용 저효율이 되더라도 먼 장래를 생각해서 농업은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

소비자가 많이 거주하는 수도권을 의식하여 생산자인 농민을 외면하는 정책을 쓴다면 헌법에 보장된 기회균등에 정면으로 위배될 뿐 아니라 보편적 복지정책이 아니라고 본다. 농업을 보호하지 않고 식량주권을 포기한다면 역사에 준엄한 심판을 받을 것이다.

쌀 등 민감 품목은 양허관세(讓許關稅) 대상에서 제외되었다고는 하지만 계절에 따라 진폭이 심한 농산물은 정부가 철저한 지원을 통한 수급조절이 있어야 생산자와 소비자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공산품 수출로 발생하는 이익을 일정 부분 피해계층에 보전해야 분배의 정의가 실현될 수 있다. 앞으로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까지 체결되면 농업은 질식상태에 빠질수 도 있기 때문이다. FTA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국익을 위해서 체결하되 농민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책을 강국하면 될 일이다.

농업은 특수산업이기 때문에 비교우위나 부가가치만을 따질 것이 아니다. 농업이 파괴되면 수자원의 고갈로 환경과 생태계가 대 혼란이 오기 마련이다. 후손 만대에 아름다운 강산을 넘겨 줄 책임이 현대에 사는 우리에게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