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부터 구제역과 AI가 극성이고 치솟는 물가, 폭설과 한파로 농촌이 어수선하다.

살처분된 소와 돼지가 130만 마리를 넘었고, 닭과 오리도 400만 마리에 육박한다. 구제역과 AI는 한때 주춤하는가 싶더니 최근 들어 다시 확산되면서 날이 새면 또 어디일까 두렵다. 뉴스에 나오는 살처분 현장은 섬뜩하고, 이제는 매몰할 땅이 없다니 심각성이 그만큼 크다.

지난 18일 농림수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17일 현재 구제역에 따른 매몰처분 돼지는 184만9천436마리로 작년 12월1일 기준 돼지 사육 규모인 998만632마리의 19%를 차지한다. 10마리 중 2마리가 살처분 됐다. 이는 현재 돼지 사육규모는 803만 마리 수준으로 추정돼 2000년 1분기 788만6천932마리 이후 10년 만의 가장 적은 사육 규모다.

이처럼 구제역과 AI가 국가적 재앙이 되어 농촌지역을 뒤숭숭하게 만들고 있지만 군민들이 느끼는 경각심은 크지 않다.

물론 구제역이 이 지경에 이른 데는 정부의 초동대처 미흡에 대한 반감도 없지 않겠지만 지금은 잘잘못을 따지고 있을 때가 아니다.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제주도를 제외한 전 지역으로 구제역이 확산되자 정부는 예방 차원 명분으로 구제역 청정지역까지 백신접종을 확대해 철통방어를 해온 지역 축산농가들에게 허탈감을 안겨 준 것도 사실이다.

현재 무안지역은 11곳의 방역초소에서 50일 이상 계속되는 방제활동으로 공직자들과 방역단이 지쳐있다. 구제역과 AI도 문제지만 계속된 한파는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이들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가 필요할 때이다.

지금은 전쟁에 준하는 위기상황으로 인식할 만큼 심각성이 크다. 모든 산업이 먹이사슬 생태계처럼 연결돼 있어 하나의 산업이 무너지면 연쇄 도미노 도산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나아가 구제역과 AI 발생국 오명으로 수출이 끊기는 최악의 상황도 도래할 수 있다.

이렇게되면 축산농가의 피해가 부메랑이 되어 국민 모두의 고통으로 돌아옴을 1997년 대만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400여만마리를 살처분하고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축산업 기반이 거의 붕괴된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민족 대이동 설을 10여일 앞두고 전남도가 귀향자제를 당부하고 나선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 바이러스의 활동 반경이 3m 이내로 볼때 구제역 확산은 사람에 의해 옮겨지는 인재인 만큼 국민 모두가 경각심을 갖고 함께 대처해 나가야 할 때이다.

설 연휴 기간을 국가 재난 기간으로 선포해 귀향을 자제하도록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고, 지자체장의 호소문도 필요하다. 예방은 아무리 지나쳐도 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축산농가들은 축사 안팎 및 기구에 대한 철저한 소독, 축산관련 차량과 출입자 통제, 방역수칙 준수가 이뤄져야 하고, 주민들은 농가 방문 자제와 각종 모임이나 행사 참석을 삼가해야 한다. 하루하루 삶이 시커멓게 타들어 가는 축산농가들을 생각하면 말이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