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거나’ ‘재밌거나’ ‘정직하거나’

[무안신문]

정 주(고구려대학교 겸임교수)
정 주(고구려대학교 겸임교수)

나는 90년생 두 아이를 둔 엄마다.

자식이지만 낯선 존재가 되어 한 공간에서 함께 사는 법을 고민하고 있을 무렵, 어느 날 서점에서 “애네 무슨 생각을 하는 걸까”라는 표지의 책이 눈에 띄었고 “몰려오는 그들로부터 당신은 안녕하십니까?”라는 물음에 호기심과 궁금증이 생겼다.

60년대 끝자락에 태어나 90년생인 두 아이와의 온도차를 체감하고 있었던지라 신개념의 마인드인 ‘90년생이 온다’는 그들 세대를 공감하고 이해하면 갈등 없이 지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과 내 스스로 재미있는 변화가 생길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흥미로움이 나의 발길을 멈추게 했다.

‘90년생이 온다’는 강한 통제방식이 통하지 않은 세대에게 권위를 잃지 않으며 전체를 위한 합리적인 방법을 찾는 동기부여 또한 필요함을 느끼게 한 가이드가 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시 출생 집단, 사회 구조 등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들이 작용하여 형성되는 한세대를 바라보며 이게 90년생만이 느끼는 의식일지, 전혀 진보하지 못한 우리사회의 은밀한 속사정인지, 혹은 그들의 의식을 따라가지 못하고 진부해져가는 나의 얘기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게 했다.

혈연, 학연, 지연이 통하지 않은 공무원을 갈망하여 도서관에서 공무원 준비를 하는 아이는 내 아이이고 또는 90년대 출생 세대만의 비밀이고 특징인 게 분명하다.

취준생 10명중 4명이 공시족인 나라, 9급 공무원만을 원하는 세대, 90년생 앞에 펼쳐진 새로운 세상에서 왜 내 아이는 공무원의 길을 택하려고 할까를 깊게 생각해보게 되었고, IMF를 경험한 우리세대 부모가 재미를 통해 자아를 실현해가는 90년생과 하나가 되고, 흥미를 어떻게 이끌어내어 가족의 건강한 구성원이 될수 있을지를 함께 의논하고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되었다.

70년대생이 인생을 어떻게 살아 갈 것인가를 생각한다면 90년대생은 어떻게 인생을 재미있게 살 것인가에 의미를 둔다.

이모티콘과 짤방으로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능숙한 90년생 아이들, 아주 간단하거나 재미있거나 정직하지 않으면 가차 없이 외면하고 그들 앞에 펼쳐진 새로운 세상에서 호구가 되기를 거부하는 90년생, 그들의 특징은 워라벨(work-life balance)인 저녁이 있는 삶을 꿈꾸며 소확행(小確幸)을 추구한다.

그들은 그것을 간단함, 병맛, 솔직함으로 이야기하며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기도 하고 자신에게 꼰대질을 하는 기성세대나 자신을 호갱으로 대하는 기업은 외면하며 참견이 아닌 참여를 통해 인정욕구를 충족한다. 형식에 빠져 낭비되는 시간을 싫어하고 보여주기식 업무에 염증을 느낀 20대인 90년생들은 사회에 본격진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트렌드를 주도하는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하였으며 이제 그들의 흥미를 어떻게 끌어 낼 수 있을지가 소비의 패턴이 되었다.

변하고 있다. 나는 그들과 함께 변하고 있는가? 혼자 이룰 수 있는 건 없고 세대에 맞게 변해야 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누구나 기성세대가 되고, 90년생을 특정짓는 다양한 해석의 시도를 통해 기성세대의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애쓰고자하며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방안까지도 생각해보아야할 때다.

부딪히고 관찰하고 본심을 들여다보는 과정을 통해 90년생 그들 세대와 효과적인 관계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젊은 세대에게 필요한 것은 위로가 아니라 그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지지해주는 것이라는 걸 잊지 말자!.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생각을 발견하고 조화를 이루어 90년생과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 기성세대인 우리가 할 일인 것이다.

90년생은 어떤 세대이고 “애네 무슨 생각을 하는 걸까”에 대한 고민은 작게는 내 두 아이에게 크게는 그들의 무대가 될 대한민국의 미래를 응원하는 일이 될 것이다.

90년생 아이를 둔 부모라면 필독을 권한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