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행인 칼럼

지난 18일 교육인적 자원부가 발표한 공교육 내실화 대책과 사랑의 회초리라는 이름으로 내놓은 체벌 허용과 보충수업 전면 허용에 대하여 찬성과 반대 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번 공교육 내실화 대책의 주요 골자는 지난 1999년을 시점으로 보충수업을 점진적으로 축소해 오던 것을 지난해 전면 폐지 했다가 이번에 전면 부활한다는 내용이다. 있어왔던 보충수업을 폐지했다가 다시 부활하게 된데는 몇가지 충분한 이유가 있어서임에 분명하지만 받아들이는 입장에서는 각자 의견이 상충되는 부분이 많다.
학교공부외에 자정이 넘도록 괴외다 학원이다 해서 몸살을 앓고 있는 현실에 놓인 학생들을 학교 안으로 끌어들여 과도한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고 학교 교육에 내실을 기하겠다는 긍정적인 내용은 진실로 환영할만 하다.
한편 교사들은 학습을 위한 준비와 연구가 소홀해 질 우려가 있으며 희망자가 아닌 전체학생에게 보충수업을 강요 한다는 것은 본래의 취지인 특기적성교육이 아닌 과도한 입시위주교육으로 변질 될 것은 불보듯 뻔한일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농어촌 학부형 또는 지방학생들은 도시와 교육여건이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데다 학원선택의 폭 마저 좁은 현실에서 보충수업 허용은 학력 신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반기고 있다.
새벽에 일어나서 자정이 넘어 초죽음이 되어서야 귀가하고 그것도 불안해서 학원이다 과외다 독서실이다 해서 내몰리고 있는 현상황을 과연 누구의 탓으로 돌려야 하는가?
사교육비 부담이라는 말에는 그 원인 제공을 한 교육부와 학교 당국에서도 상당한 책임이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학교가 학교로서의 제기능을 다한다면 보충수업 부활이다. 폐지다라는 헤프닝 따위는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요즘 고3 학생들의 모습을 보면 학교 수업시간에는 졸거나 아예 자고 학원 수업에서는 열심히라고 한다.
무엇이 문제인가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일이다.
보충수업 전면 허용 찬반을 떠나 본래의 취지가 정말 그 효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대안제시와 교사, 학생 학부모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학교의 학원화 우려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그 저변에 깔려있는 심층까지 드려다 보면 이해타산이 깊게 깔려 있음을 쉽게 간파할수 있을 것이다.
무엇이 문제인가?
우리는 대책을 내놓고 시행과정에서 파생되는 문제점이 누적되면 얼마되지 않아 그 대책을바꾸고 말았다. 더구나 교육정책이 백년지대계를 결정하는 중차대함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얼마나 많은 조령모개라는 오명을 남기고 바뀌거나 폐지 또는 축소 되었던가?
문제는 풀어야 하고 수시로 보완해 갈 때 그 진정한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