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 조사보고서, 상호 이해 부족으로 갈등 경험 많아
포용적인 농촌 다문화가족 복지정책 확대 등 사회통합 정책 필요

[무안신문] 농촌사회에서 귀농·귀촌인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차별이나 무시가 여전히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농촌지역 일손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귀농·귀촌이 떠오르고 있고, 전남지역 내 다문화가정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농촌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연구보고서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 대상 심층연구’에 따르면 마을주민과 말다툼을 하거나 싸우는 등 갈등을 경험한 결혼 이주여성은 15.6% 수준이었다.

특히,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차별이나 무시를 당한 경험은 23.2%에 달했고, 다문화가정의 자녀라는 이유로 기존 지역주민에게 차별과 무시를 당한 경험 역시 23.2%로 높게 나타났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간한 ‘다문화학생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전체 학생 중 다문화가정 학생 비율이 전남 4.3%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는 점을 감안, 지역 내 다문화가정 차별이 심각한 지역사회 문제로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귀농·귀촌인 역시 주민들과 말다툼이나 싸우는 등 갈등을 경험한 비율이 12.7%로 나타났으며, 농촌에서 생활하면서 귀농·귀촌인 이라는 이유로 기존 주민들에게 차별이나 무시를 당한 경험도 14.2%나 됐다.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 ‘상호이해 부족 또는 오해’(이주여성 42.6%, 귀농·귀촌인 27.5%)가 가장 많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문화가정과 귀농·귀촌인이 지역사회 원주민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이밖에 다문화가정의 경우 한국어교육의 개선과 가족교육 및 이중언어 교육의 강화, 다문화 자녀의 학습지원 및 진로지도 교육 강화를 제시했고, 귀농·귀촌인들은 마을공동체의식 함양과 상호 이해교육 강화, 마을에서의 멘토링 제도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농촌사회에서 마을주민과의 갈등이나 차별 외에도 농촌사회 양극화도 문제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주여성의 43%는 농촌사회가 양극화돼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귀농·귀촌인들은 무려 60%나 농촌사회 양극화를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주여성은 ‘일자리·돈벌이 기회 부족’(47.7%)과 ‘대농위주의 농업정책’(18.1%)을 원인으로 지목했고, 귀농·귀촌인은 ‘대농위주의 농업정책’(32.9%), ‘일자리·돈벌이 기회 부족’(32.4%)를 꼽았다.

이에 따라 대농위주의 농업정책을 벗어나 중·소농 육성정책이 필요하고, 이주여성들의 일자리 확대를 위한 직업알선과 교육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고서는 “농촌의 다문화가정과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정책 기본방향으로 포용적인 농촌 다문화가족 복지정책 확대와 포용적 귀농·귀촌정책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해당 연구보고서는 농촌 다문화가족 514명(결혼이민자 302명·남편 106명·시부모 106명)과 귀농·귀촌인(귀농 273명·귀촌 270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해 얻은 결과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