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교육청 ‘농산어촌 교육활성화 포럼’개최
우수교원 확보·교장, 교감 역할 재조정 등 방안 제시

[무안신문] 저출산, 학령인구 감소 여파로 전국 곳곳에서 학교 통·폐합과 폐교가 잇따르고 있다. 농산어촌으로 이뤄진 전남 역시 지난 30여년간 모두 822개의 학교(초중고)가 문을 닫았다. 폐교되지 않은 학교 역시 적은 학생수로 시설투자가 제때 이뤄지지 않고 교원은 부족해 농산어촌의 경우 학교가 있더라도 적절한 교육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게 현실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15일 오전 10시 전남도교육청에서 열린 ‘2018. 농산어촌 교육활성화 포럼’농산어촌교육 발전 대안으로 지역 거점학교 강화, 연중무휴학교·마을학교 운영, 우수교원 확보, 교장·교감 역할 재논의, 일관된 지원정책 등이 제시됐다.

발표자로 나선 순천대 이병환 교수(사범대)는 지역 거점학교 운영을 통한 교육력향상 방안을 제시했다. 거점학교는 인접한 소규모학교 2~3개를 학교군(群)으로 묶고 이 가운데 한 학교에 시설과 교육프로그램을 집중, 학교군 전체의 교육역량을 끌어올리는 것으로 전남에서는 시군에서 거점고가 운영 중이다. 거점학교 운영지역의 경우 기존 농산어촌학교 학생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지역 교육력이 강화되는 강점은 있으나 학교군으로 묶인 나머지 학교는 폐교하게 돼 일부 주민, 학생의 반발이 뒤따르는 단점도 있다.

이 교수는 학교와 마을공동체가 함께 아이들을 돌보고 가르치는 연중무휴학교 및 마을학교 운영도 농산어촌 교육발전 대안으로 제시했다.

연중무휴학교는 평일 일과 후는 물론 주말 및 방학 중 자녀를 돌보기 어려운 가정을 대신해 학교가 학습과 생활공간의 역할을 하도록 교육복지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학교다. 학교외 교육공간이 없어 다수 학생들이 하교후 사실상 방치되는 농산어촌 현실을 감안한 것으로, 이 경우 교사 확보가 관건이 된다.

마을학교는 지역사회와 학교가 연계해 서로 자원을 공유할 뿐 아니라 함께 아이들을 돌보고 일상에서 배움을 모색하는 학교다. 학교가 교육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학생과 주민, 교사가 함께 운영하는 지역사회 중심의 학교다. 이 교수는 어떤 경우든 우수교원 확보가 필수이며, 이를 위해 교원들의 정주여건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북 진안초 윤일호 교사는 교장·교감 역할의 재논의를 통해 농산어촌 교육력을 끌어올리자는 주장을 내놓았다.

윤 교사는 “학교 업무분장표를 보면 교장은 ‘통할’, 교감은 ‘관리’로 된 경우가 많다.”며 “21세기를 살아가는 지금, 교장이 거느리고 다스린다는 말 자체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윤 교사는 “일부 교장, 교감의 경우 교사가 병가를 냈을 때도 보강수업조차 들어가지 않는다”며 “교장과 교감도 엄연히 교사다. 시대의 흐름과 농산어촌학교의 부족한 교사 수를 생각하더라도 교장, 교감의 역할을 다시 생각해야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농산어촌 교육 활성화 포럼과 관련해 장석웅 전남도 교육감은 지난 17일 간부회의에서 “교육청의 핵심 현안인데도 7개 교육(지원)청에서는 교육장은 물론 교육지원과장도 보내지 않았다”고 말해 참석 여부는 주관적 판단에 맡겨야 하는데도 휴일인 토요일에 열린 행사 불참을 나무라는 것은 기강 잡기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이날 불참한 교육지원청은 여수, 나주, 곡성, 구례, 고흥, 무안, 장성 등 7곳 교육지원청이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