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국회의원·군수·지방의원 민주당 압승…군의원 8명 중 6명
기호 1번 등 앞 번호 묻지마 선택…후보 아닌 ‘문재인 대 야당 후보’ 대결
군의원 강병국 당선자 7천800여표 획득…무소속 이요진 당선 이변
젊은피 등장, 기득권, 단골정치인 퇴장, 무안정치판 변화 ‘불가피’
쏠림 부작용 견제 우려…야당, 지방선거 참패 정계개편 관심

[무안신문] 6·13 지방선거 결과 민주당 압승으로 ‘민주당 천하’가 됐다. 촛불혁명으로 시작된 ‘문재인 바람’이 집권당 몰아주기로 지방권력까지 집어 삼켰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선거에서 보수의 철옹성으로 불리던 부산·울산·경남 등 PK지역까지 파란 깃발을 꽂으며 지난 1990년 3당 합당이후 28년간 고착화된 지역주의 구도를 깨는 정치적 변화를 이끌어냈다. 영암·무안·신안 등 전국 12곳에서 ‘미니총선’급으로 치러진 재보궐 선거도 11곳에서 금배지를 휩쓸며 130석의 의석수를 확보, 후반기 국회 주도권을 움켜잡게 돼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국정운영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지방선거 민심은 평창동계올림픽으로 시작된 남북화해 무드가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성공개최로 이어지며 ‘평화의 바람’ 여론이 고스란히 표심으로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전남에서는 민주당이 전남지사를 비롯 기초단체장, 지방의원까지 석권한 압도적인 성적표를 냈다. 하지만, 전남 22개 시장·군수 선거 중 14곳에서만 당선자를 냈고, 고흥·함평·해남 3곳은 평화당, 여수, 광양, 신안 등 5곳은 무소속에게 내줘 전남 민심이 민주당에게 절대적이지만은 않다는 경고를 주었다.

전남 지방의회 권력 역시 민주당 쏠림으로 전남도의원은 58석(지역구 52) 가운데 진도, 영암 2곳을 뺀 54석을 민주당이 가져갔다. 정의당과 평화당이 지역구와 비례대표 각각 1석씩 차지했다. 기초의원도 전남 전체 243석(지역구 211·비례 32)석 중 178(지역구 150·비례 28)석을 민주당이 차지했다.

따라서 지난 2016년 총선 당시 국민의당 돌풍으로 구축된 다당제 구도가 민주당 일당 독주로 회귀하면서 지방의회내 견제 세력 부재 등 부작용 염려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무안군도 이번 지방선거에서 국회의원(서삼석), 군수(김산), 도의원(이혜자, 나광국), 군의원 등 12명의 당선자 중 10명을 민주당이 독식했다. 이렇게 되면서 그 동안 지역구 국회의원과 군수간 갈등을 빚어왔던 악폐는 사라지게 됐지만 군의회 견제 세력 부재 우려도 제기된다. 제8대 무안군의회 8명 당선자(김대현, 박성재, 이정운, 강병국, 김경현, 박막동, 김원중(평화), 이요진(무소속)) 중 6명이 민주당이다.

무안지역 지방선거는 민주당의 공천 갈등과 반발, 탈당과 무소속 출마, ‘고무줄 잣대’ 등을 둘러싼 잡음이 악재로 예상됐으나 묻지마 여당 표몰이 제지엔 역부족이었다. 최대 격전지로 분류됐던 도의원 1선거구도 투표함을 열어 보니 민주당 프리미엄 쏠림으로 무소속 정길수 후보가 당초 예상보다 커다란 표차로 낙선했다. 다만, 평화당 김원중 후보는 고향인 해제에서 전체 득표 과반에 이르는 몰표로 당선됐고, 타 후보들에 비해 늦게 무소속 출마해 당선된 이요진 당선자는 3선 의원이 되며 이번 무안선거 최대 이변으로 평가받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무안지역 선거 결과는 젊은 피(강병국, 김대현, 김원중, 나광국) 등장으로 지역내 기득권과 단골정치인들의 자연스런 퇴장이 점쳐져 지역정치판 지각변동이 예고된다.

이번 무안지역 선거 결과를 두고 한 정치인은 “기득권과 연계하여 공천경선을 준비한 후보들이 모두 낙선했다는 것은 과거 조직 정치가 사라지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 주었다”면서 “특히, 이번 무안군 전체투표(69.4%) 결과를 볼 때도 사전 투표(30.3%)자만이 지역에서 적극적 정치개입, 후보 지지자로 이들이 지역내 선거판을 흔들고 있고, 선거 당일 투표자 40%는 부동층으로 묻지마 민주당 투표로 나타났고, 30%는 선거에 관심없는 사람들이다”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민주당이 압승을 거둔 이번 지방선거는 유권자들이 민주당 후보를 선택했다기보다는 문재인 정부 성공을 위해 대통령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며 “민주당이 성적표만을 믿고 오만하게 굴었다가는 4년전 지방선거에서 완승하고도 2년전 총선에서 패배했던 아픔을 되풀이 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민주당의 압승에 따라 지역 정계개편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민주당은 12개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11곳에서 당선, 130석으로 몸집이 커진 반면 평화당이 호남 존립기반 자체가 사라져 당 대 당 통합이나 개별 입당 등이 급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지방선거 참패로 책임론에 휩싸인 전남 현역 의원들의 경우 출구전략이 절실한 처지여서 지역정가 개편이 불가피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지방의회 일부 의원들이 ‘민주당 복당’을 전제로 지방선거에 불출마했기에 단체장과 의회권력 등 기초울타리가 무너진 상황에서 출구전략들이 필요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광주·전남 국회의원(당선자 포함) 18명 중 민주당 3명, 평화당 9명, 바른미래당 4명, 무소속 2명이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