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전지구·복원지구·친수지구로 분리 관리

[무안신문] 정부가 4대강 사업을 통해 강변에 조성된 공원과 운동장 등 시설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여 이용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시설을 가려내 철거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4대강 주변에 조성된 297개 ‘친수지구’(66.7㎢) 전체의 이용도를 빅데이터 기법으로 분석해 이용도가 적은 곳은 자연상태인 ‘보전지구’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지난 7월26일 밝혔다.

과거 이명박정부는 4대강 사업으로 강 주변 농경지를 정리하고 공원이나 체육시설을 만드는 등 357곳의 ‘수변생태공간’을 조성했다. 이후 지방자치단체들의 무관심으로 시설물이 방치되자 국토부는 작년 말 강 주변 지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보전지구와 복원지구, 친수지구 등으로 세분화했다. 보전지구는 자연상태로 두는 곳, 복원지구는 불법 농경지 등을 정리하는 곳, 친수지구는 체육시설과 공원 등으로 활용되는 곳이다.

2010∼2011년 4대강 주변에 만들어진 수변 친수공원은 181개, 체육공원은 42개, 생태공원은 67개가 있다. 이들 조성에 투입된 예산만 3조1천132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일부 친수지구의 생태공원과 운동장 등 시설물이 이용자가 거의 없이 방치되면서 ‘유령공원’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영산강변 수변공원도 예외는 아니다. 2011년 3월 몽탄면 이산리 배뫼마을 영산강 수변에 조성한 ‘희망의 숲’은 매년 두차례 풀을 베고는 있지만 이용자가 거의 없어 잡풀이 우거지는 등 ‘절망의 숲’으로 변했다.

이 숲은 당시 지역주민과 출향인사 등 70여명이 참여해 1그루당 15만원에서 30여만원의 비용을 들여 버드나무 등을 구입해 식재했지만 현재는 ‘몽탄노적’이라는 기념비가 이곳이 ‘희망의 숲’임을 이야기 할 뿐 산책로 테크는 사람이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이밖에도 영산강변에 조성된 공원 상당수도 예외는 아니다. 이는 공원이 사람 왕래가 없는 외진 곳에 있고, 강 둔치여서 장마철이면 물에 잠기기 일쑤라는 점이다. 무엇보다 사전에 수요 조사나 주민 의견을 듣지 않고 적지가 아닌 곳에 끼워 맞추기 식 탁상행정에서 비롯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다행히 영산강변 자전거도로(24Km)는 활용되고 있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