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창석의 마을탐방 (스토리가 관광자원이다)

龍山里는 일로읍 소재지로부터 몽탄 쪽으로 1㎞ 가량 떨어져 있으며 里 사이로 811번 지방도로가 지나고 있다. 본래 무안군 일로면 지역으로서 ‘영산강으로 뻗어내린 산의 맥이 용처럼 생겼다’ 해서 용산이라 하였는데 1910년 목포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정리, 공수동, 월성리, 송암리와 회인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다시 무안군에 편입되었다.

1920년대 일본인에 의해 영화농장이 들어서면서 농장 백호동 등의 마을이 들어섰으며 현재는 인동 농장 평정 백호동 연화동 월성 등 6개 마을로 이루어졌다. 자료에 따르면 조선시대에 연화동과 농장 마을 일대에 공수전이 있어서 공수동으로 불렀다는 기록도 있다. 농장 마을에 김시라 생가와 광주시 지정 인간문화재인 서창순의 기념비가 있다. 또한 용산 마을에 해주오씨 제각인 영사재와 왕뫼에 나주정씨 제각이 있다.

▲ 일로 연화동 마을전경

▲녹두밭 윗머리의 마을

연화동은 용산5리에 속하는 마을로 원래는 농장 마을과 한 마을이었다. 마을유래지에는 연화동이란 지명유래를 ‘마을이 형성될 당시 마을 어귀에 조그만 연못이 있었는데 그 연못의 꽃이 아름다워 연화동이라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지명은 마을의 지형이 풍수지리의 영향을 받아서 지어진 이름으로 보인다.
이 마을은 인동 마을 뒤 복개산의 맥을 이은 공동산에서 두 개의 맥이 영산강 쪽으로 뻗어내려 이루어졌다.

주민들이 황룡등 청룡등으로 말하는 두 개의 둔덕이다. 해서 바닷물이 들어올 때는 마을의 지형이 마치 물 위에 뜬 것처럼 보여 연화부수의 형국이 아니었을까 추정된다. 현재 이 두 개의 둔덕 사이로 나주 동강에서 남악 도청으로 지나가는 4차선 도로 공사를 하고 있다. 주민들은 소음공해로 고생하는 것보다 마을이 두 개로 나뉘어지는 것을 못내 아쉬워하고 있었다. 마을 앞으로는 일제 강점기 때 형성되었던 영화농장이 자리하고 있다.

이 마을의 입향조는 평산 신씨다. 마을유래지에 ‘이 마을은 영화농장의 넓은 간척지를 중심으로 하여 마을을 이루었는데 입향조는 평산 신씨 신유채로 1880년경 경상도 평산에서 이주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실지로 주민들도 신씨들이 처음 마을에 들어왔다는 것을 확인해주고 있다. 다만 평산 신씨의 족보를 통해 확인할 수 없어 아쉬웠다.

문헌으로 보면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마을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일제강점기에도 나오지 않다가 1980년대의 자료에 비로소 연화동이라 나온다. 하지만 1912년의 자료를 보면 일로면 公水洞이 나오며 1917년의 자료에도 일로면 용산리 公水洞으로 나온다. 이렇게 봤을 때 이 마을과 농장마을은 원래 공수동이었다. 공수동이란 조선시대 공수전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인데 공수전이란 관아의 접대비나 驛의 경비를 충당하게 하기 위하여 지급하던 토지를 말한다.

일로읍의 영산강 주변 마을이 그렇듯이 이 마을도 예전에는 대단히 어렵게 살았다. 일제강점기에 간척지가 들어섰어도 물길이 닿지 않아 하늘만 바라봐야 하는 논들이었다. 주민들은 영산강이 막히기 전까지는 하얀 이밥을 먹는 것이 소원일 정도로 먹고사는 것에 허덕여야 했다. 그러다 영산강이 막히면서 비로소 내 소유의 농지를 소유할 수 있었고 논에 모를 심을 수 있었다.

▲참으로 억척스럽게 살아온 우렁 엄마들

주민들은 자신들의 마을을 ‘녹두밭 윗머리’였다고 말한다. 그만큼 처절하게 가난했음을 자조적으로 하는 말이다. 논은 소금밭으로 농사를 지을 수 없고 당호저수지와 감돈 저수지에서 내려오는 물은 마을 앞까지는 오지 않아 그야말로 천수답이었다. 밭이라야 손바닥만 하고 씨를 뿌릴만한 언덕이 없었다. 해서 개바라질과 병집만들기 우렁잡이 가마니짜기 등이 주된 업이 되었다.

하지만 주민들은 용감했다. 하늘만 탓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운명을 개척할 줄 알았다. 이 마을 아녀자들의 우렁잡이는 얼마나 씩씩했던지 1960년대 맹호부대를 연상케 할 정도로 장했다. 그만큼 위험한 곳을 가리지 않고 맹렬한 우렁잡이를 하였다. 부인들은 봄부터 가을까지 신안군 비금면에서 나주 동강면까지 우렁이 있을 만한 곳은 가리지 않고 찾아 헤맸다. 마을에서 십리길이 되는 기차역까지 걸어서 가 기차를 타고 버스를 타고 다시 배를 타고 우렁잡이를 나섰다. 또 우렁을 잡으면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씻어서 삶아 가지고 다시 머리에 이고 목포로 가야했다. 팔기 위해서였다.
주민들은 그때의 모습을 방죽에서 먹이 찾아 헤매는 오리로 비유했다. 남들이 볼 때는 우아하고 한가롭게 보일지 모르지만 수면 아래에서는 처절한 생존의 몸부림이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얻은 이득은 당시의 품삯보다 훨씬 많은 소득을 올릴 수 있었다. 이 돈으로 주민들은 자녀들을 가르치고 집안을 지켜냈다. 또 겨울에는 목포에 들어선 산정 농공단지로 나가 돈벌이를 해야 했다. 이제는 자녀들이 전부 장성해서 각기 제몫을 해내 주민들은 편안한 일상들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요즈음 주민들은 불만이 많다. 마을에 들어오는 길이 좁아 불안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생존의 기본적인 요소인 물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을 앞으로 버젓이 커다란 상수관이 지나가고 있는데 아직도 이 마을만이 수질이 좋지 않은 지하수 물을 먹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 더 불만인 것은 작년까지 겨울에 가마니 짜기로 가용을 벌어서 사용했는데 지금은 겨우내 꼬았던 새끼가 무용지물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마을 주민들에게 겨울철 가마니 짜기와 병집 만들기는 추운 겨울철 훌륭한 돈벌이였다. 하지만 금년에 들어서는 겨울철 언손을 불어가며 꼬아놓았던 새끼들이 사용처를 찾지 못해 썩어가고 있는 것을 보아야만 하는 실정이다. 농협이나 읍사무소에 하소연을 해도 대책이 없어 매우 안타까워 하고 있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