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창석의 마을탐방

上馬里는 청계면소재지에서 무안공항 방면으로 3㎞ 가량 떨어져 있다. 동으로는 광주-목포간 1번 국도가 지나고 있고 서쪽은 상곡봉이 마주하며 남으로는 매봉산과 망내산 그리고 소살봉이 우뚝 솟아있다.

본래는 일서면 지역으로서 마전 위쪽이 된다하여 웃마전 상마전 또는 상마라 하였다. 1910년 목포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평림리 하마전 용계 격양동 일부를 합하여 상마리라 했다. 현재는 상마정 하마정 평림 등 3개 마을로 이루어졌다. 상마정의 독배기에 11기의 고인돌이 있으며 평림에 고인돌 2기와 무안박씨 제각인 원모재가 있다.


 

 

▲평림마을은 소나무 숲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

平林은 상마3리에 속하는 마을로 윗평림 아랫평림 장등으로 이루어졌다. 평림은 원래 죽림 마을로 불려졌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예전의 마을 주변은 대나무가 많았으나 개발로 인해 현재는 대나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고 한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 현재의 이름인 평림으로 바뀌어졌다. 마을 뒤 동산에 커다란 소나무 숲들이 자리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는 그 동산이 개발되어 농지가 되어 있다. 마을유래지를 보면‘숲이 울창한 매봉산이 위치하는데 마을의 형세가 꿩의 형상이다. 자세히 보면 꿩이 날지 못하고 엎드려 있는 형상이다. 원래 죽림이라 했으나 후에 평림으로 바뀌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마을의 입향조는 뚜렷하지가 않다. 마을유래지에 따르면‘조선말기 여산송씨와 나주나씨가 처음 입향하였다’고 하는데 주민들의 의견은 다르다. 여산송씨가 처음 들어온 것은 맞는데 현재 거주하고 있는 송씨들과는 계열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후에 들어온 성씨가 무안박씨인데 추정해보면 송씨와 박씨가 비슷한 시기에 들어와 마을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문헌으로 살펴 보면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이 마을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일제 강점기인 1912년의 자료에 일서면 죽림리로 나오고 1917년의 자료에는 청계면 상마리 평림리로 나온다. 이후 같은 지명으로 나온다. 
이 마을은 승달산의 지맥인 매봉산을 주산으로 하고 있다. 매봉산의 밑에는 미래봉이 있는데 미래는 못자리를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를 말한다. 매봉산의 매가 엎드려 있는 꿩을 보고 있는 형국으로 복치의 자리는 현재 상마 삼거리 주변을 말한다. 예부터 복치의 자리는 천석군이 나올 수 있는 자리라고 하는데 실지로 그 자리에 수천석의 벼를 저장할 수 있는 창고가 세워졌다. 하지만 마을 앞에 보살봉이 있어 다른 해석을 하기도 한다. 즉 마을이 보살봉 앞에서 염불을 하는 형국으로 있어 부자들이 나올 수 없다고도 한다.

조선시대에 이 마을에는 장송장이라는 시장이 있었다. 장등이란 지명이 있어 시장을 확인할 수 있는데 주민들에 따르면 우시장도 겸해서 열렸던 큰 시장이었다. 지형적으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지역으로 마을 아래까지 바닷물이 들어왔기 때문에 운송로도 좋았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는 청계면(당시는 일서면)의 중심지였다. 장등이라 부르는 곳에 면사무소와 지서가 있었으며 폴리텍 대학 자리에는 일본인의 신사터가 있었다.
이후 간척이 이루어지고 뱃길이 도림리 백련동까지만 이루어지자 면소재지가 자연스럽게 현재의 도림리로 옮겨갔다.

▲예전엔 녹두밭 웃머리였다

▲ 마을 앞 고인돌
현재 이 마을은 윗평산과 아랫평산을 나누면서 국도 1호선이 지나고 있다.

국도 1호선이 개통되던 초창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교통사고의 피해를 입어야 했다. 뿐만 아니라 어린 학생들도 교통사고를 피할 수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교통에 대한 의식이 바뀌어져 교통사고가 많이 줄어들었다. 그래도 차량의 피해는 자주 일어나고 있다.

마을에 팽나무 한 그루가 있는데 수령이 100여년 전후로 그 주변에 고인돌 2기가 있다. 원래는 4기가 있었다고 하나 밭을 경작하면서 2기는 치워졌다고 한다. 큰 것은 길이 3.2미터 폭 3미터로 상당히 크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옛날 한 장사가 바위들을 몰고 한양으로 가다가 빠뜨린 바위들이라고 한다. 

예전에 이 마을은 빈촌이었다. 녹두밭 웃머리라고 자조적인 말을 할 정도로 가난하게 살았던 마을이다. 토지가 좁을 뿐 아니라 있는 토질도 박토여서 농작물을 재배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관개시설이 되어 있지 않아 있는 토지들도 하늘만 바라보는 천수답이었다.

옆 마을인 대성동의 석산개발 때문에 주민들의 피해가 많다. 대형차의 잦은 왕래는 주민들을 불안하게 할 뿐 아니라 돌가루가 바람을 타고 마을 쪽으로 불어와 빨래를 널지 못하고 여름인데도 창문을 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문을 아무리 잘 닫아도 아침이 되면 탁자에 뿌옇게 쌓이는 먼지를 봐야 한다. 이런 고통을 겪은 지 10여년이 훨씬 넘었지만 문제는 언제 석산 개발이 끝날지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다.

마을에 1930년에 개교한 청계초등학교와 2000년 목포에서 이전한 한국폴리텍∨대학이 있다. 주민들은 청계초등학교가 있는 자리가 참새 형국이어서 아이들이 모여 있다고 보는 것이다. 참고로 청계북초등학교는 개미형국이라 한다.

초등학교 뒤를 강가울이라 하는데 강씨들이 살았던 터였다. 현재는 살고 있지 않고 지명만 남아있다. 마을에서 도림리로 넘어가는 재를 갱기재라 한다. 갱기재에는 도깨비들이 자주 나타났다고 한다. 송현리와 경계에는 궁개보라는 지명이 있으며 장등 아래에 짜박골이 있다. 한국전쟁 때는 좌익에 의해서 두 명이 희생 당하기도 했다.

윗평산에는 무안박씨 제각인 원모재가 있다. 1865년에 창건하여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는데 현재의 건물은 1994년에 중건한 시멘트 구조의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팔작지붕이다. 안에는 12개의 현판이 걸려 있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