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군민들의 주소득원 중 하나로 자리매김 해온 겨울 소득작물 양파가 수 년전부터는 출하를 앞두고 골칫거리로 전락해 행정과 농민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

올해도 조생양파 출하를 앞두고 양파 파동이 우려된다. 신임 김철주 군수가 취임 후 첫 주재회의를 지난 13일 양파 대책회의로 가질 만큼 조생양파가 고민거리로 등장했다. 그도 그럴 것이 양파는 과거 무안지역의 최대 효자작목으로 농가의 소득보전에 큰 기여를 해 왔고, 지역경제 활력의 큰 역할을 담당했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전국 최고 브랜드를 가진 무안양파는 경쟁력 우위를 점하고도 판로 확보 등이 여의치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는 중간 도매상들의 통계에 잡히지 않는 저장량과 또 중국의 수입물량 등에 따른 가격 지지를 얻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도 원인이다. 설상가상 온난화 등으로 양파 재배면적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지난해 중만생종 과잉생산으로 재고 증가가 가격 파동을 부추기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지금까지 우리 지역이 양파 최대주산단지만을 자랑해 왔을 뿐 대책 마련에는 다소 소홀했던 점도 없지 않다.

매번 가격이 폭락하면 정부의 일회성 땜방 정책으로 위기를 타개하곤 했다.

올해 역시 군은 조생양파 수확기에 지역농협별 계약 재배물량 600여톤을 우선 수매하고 시장동향을 봐가며 가격이 하락할 경우 정부가 예시한 최저생산비(kg당 200원)에 관계없이 농가들의 소득보장수준인 350원에 수매를 희망하는 농가 전체물량을 무안군이 일부 보전해 주는 방식으로 농협을 통해 수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양파의 소비촉진을 위해 수도권 자매결연 도시와 대도시 아파트부녀회, 향우회, 향우기업 등과 협력해 직거래 판매확대 추진, 산지유통센터 대량 소비처 발굴과 공직자들이 나서 소비촉진 운동을 적극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들은 수년전부터 반복적 전개 운동으로 가격을 회복시키기에는 한계가 따랐던 만큼 안정적인 판로대책이 따르지 않는 한 양파파동의 위험은 언제든지 수반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지산지소 운동과 양파 판로 일원화, 학교급식센터 설립을 위한 장기적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아울러 정부 역시 양파재배 증가 속도를 억제할 제동장치 마련과 양파 주산단지 지정에 따른 생산비 보장, 재배 기술보급, 유통구조 마련, 대체작물 돌려짓기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양파주산지보호 특별법’제정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