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탐방> ‘스토리’가 관광자원이다

본지는 무안지역 ‘스토리텔링’ 발굴 일환으로 지역의 전설 및 마을 유래담을 연재합니다.(마을탐방은 무안향토사연구소 백창석 소장의 현장 탐방 기고로 이루어집니다) -편집자주-

上新基里는 일로읍 소재지에서 몽탄 쪽으로 811번 지방도로인 삼일로를 따라가다 일로 산정농공단지 앞에서 우회하여 백련로로 접어들면 만나는 마을이다.
몽탄면 당호리와 이웃하고 있으며 마을 앞에는 간척지가 펼쳐져 있다. 마을유래지에‘상신기리는 본래 무안군 일로면의 지역으로서 새터몰이라는 곳의 위쪽이 되므로 웃 새터 또는 상신기라 하였다. 이후 1910년 목포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용교리, 신흥리, 환학동을 합하여 상신기리라 해서 무안군에 편입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은‘상신기란 지명은 일로에서 가장 위쪽에 자리 잡은 새터 마을’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현재는 상신, 환학동, 중촌 등 3개의 마을로 이루어졌다. 상신 마을에 고인돌과 동학의 흔적이 있으며 중촌마을엔 퇴락한 사찰 불광사가 있다.

▲학을 부르는 마을

환확동은 상신2리에 속하는 마을로 산골 우데미 아래데미 송촌 서당뫼 등으로 이루어졌다. 마을 뒷산이 학 형국의 산이어서 마을 이름도 그와 관련지어 지은 것이다. 지명유래를 보면 북쪽에서 남쪽을 향해 날아오던 암수 두 마리의 학이 이 마을을 지나면서 풍광이 수려해 수컷 학은 이곳에 주저앉고 암컷 학은 건너 마을 산정리의 학두리에 머물며 살았다.

 

환학동 마을 전경

 

두 마리의 학은 서로를 바라보며 오가면서 행복하게 살았는데 이 마을의 학이 마치 학두리의 학을 부르는 것 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서‘학을 부르는 마을’이란 뜻의 환학동이라 하였다.

마을유래지에는‘옛날 학이 마을 뒷산에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새끼의 먹이를 구하러 나갔던 학이 돌아오지 아니하여 학이 다시 돌아오라고 불렀던 곳이라 하여 喚鶴洞이라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현재는 여러 성씨가 살고 있지만 입향조는 이천 서씨다. 이천서씨 서수선(자-선여, 1750-1810)이 이로면에서 살기 좋은 이 마을로 이주하여 정착하면서 마을을 형성한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남평문씨인 문택연(자-인황, 1791-?)도 이 마을로 들어왔다.

문헌을 통해서 지명의 변화를 살펴보면 1789년의 자료인 호구총수에 무안현 노촌면 환학동으로 나온다. 1912년의 자료에도 일로면 환학동으로 1917년엔 일로면 상신기리 환학동으로 기록되다 이후엔 계속 같은 이름으로 나온다.

이 마을은 일로의 모스크바로 불릴 정도로 전향적인 사상을 갖고 있었다. 해서 한국전쟁 때 이 마을도 많은 피해를 입었다. 특히 1950년 9월 좌익의 사상교육을 거부한 5명의 주민들이 일로의 다른 곳에서 붙잡힌 사람들과 같이 목포 시아바다라 불리는 곳에서 익사하거나 사살되기도 했으며 전쟁 중 스스로 월북한 사람도 있었다. 인민군이 물러간 후에는 국군에 의해서 또 많은 사람이 죽기도 하였다.

▲마을 전 주민이 신자로 문맹자가 한사람도 없어

일제강점기 때는 이 마을이 다른 마을에 비해 앞서갔다. 이 마을에서 두 명의 면장을 배출할 정도로 인물이 많았으며 면에서는 제일 먼저 전기가 들어오는 등 발전의 속도가 빨랐다.

진흥골이라 부르는 곳에 천주교 공소가 있다. 이 공소는 일로 본당보다 역사가 오래되었을 뿐 아니라 일제강점기 때 들어섰다. 처음엔 초가집에서 시작했지만 이제는 번듯하게 독립된 건물을 갖고 신자를 맞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 성당 밑에는 연자방아가 있었고 베틀공장이 있었다.  

진흥골은 일제강점기 때 진흥학교가 있던 자리로 교육의 터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진흥학교는 나중에 농장 마을로 갔다가 광암으로 들어가 현재의 일로 초등학교가 되었다.

우데미에서는 주변 곳곳에서 오래 된 토기와가 많이 나온다. 마을의 역사를 말해주는 흔적으로 보인다. 또한 두 아름이 훨씬 넘는 커다란 당산나무가 있었으나 나무가 귀할 때 주민 중 한사람이 베어서 사용해 지금은 없다. 마을 입구에 한 기의 고인돌이 있다. 원래는 주변에 3기가 있었다고 하나 밭을 경작하면서 2기는 파괴해 버린 것이다.

이 마을의 주 소득원은 고추육묘와 쪽파다. 특히 고추 육묘는 도서지방을 비롯한 전국에 공급될 정도로 품질을 인정받았다. 현재는 시금치와 양파도 재배 면적을 점점 넓혀가고 있다.

이 마을에는 문맹자가 없다. 우리군의 70대 이상 노인들의 문맹률이 30%가 넘는 현실에 이 마을에는 한 사람도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 없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천주교가 들어서면서 선교 작업 일환으로 한글을 가르쳤기 때문이다. 마을 주민 대부분이 천주교 신자다. 마을에 기도원이 있지만 한 가구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천주교 신자로 생활하고 있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주민들의 표정이 편하고 넉넉해 보인다.

이 마을에는 두 개의 샘이 있다. 우데미샘과 산골샘이 있는데 우데미 샘에는‘전’이 있었다고 한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전’은 좋은 샘에 나타나는 일종의 뱀과 같은 물체인데 귀한 약초로 알려지기도 한다. 좋은 샘이기 때문에 인근 마을에서 정월 보름만 되면 물을 가지러 오는 사람과 물을 지키는 사람이 서로 대치해 장관이었다. 이른바 물타러 간다는 놀이가 진행되었던 것이다.

비선재가 있으며 당호리로 넘어가는 고개에 가장골재라 부르는 지명이 남아있다. 중촌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흙벽이 있는데. 이곳에 초새가 많이 살고 있어 초새골이라 부른다. 마을 앞에 서종식기공비가 있으며 마을 뒤에는 시멘트 벽돌로 이루어진 경주김씨 제각이 있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