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국회비준이 통과돼 농촌 현실이 암담해 졌다. 정부는 22조원이 넘는 돈을 투자해 농업 경쟁력을 키운다고는 하지만 과거 정책으로 볼 때 농가들의 기대는 크지 않다.

한미FTA 비준의 피해는 정부도 인정할 만큼 농축산물이다. 당연지사 농업 군인 우리 군의 농축산업 피해는 불가피해 대책마련이 절실하지만 뾰족한 방안이 보이지 않는다.

더구나 수년 전부터는 하늘도 농민을 돕지 않는다. 이상기온으로 겨울 날씨가 봄 날씨를 보이면서 지역 주 소득작목인 마늘 양파가 웃자라 농가들이 가슴을 태우고 있다. 대목을 누려야 할 김장 배추는 가격폭락으로 요즘 들녘에서 갈아 엎는 현실이다. 생산비도 건지지 못하자 계약재배한 중간상인들도 수확을 포기한 실정이다.

정부의 정책이 지금까지 생색내기 지원으로‘알아서 하라’는 정책이다 보니 정보가 떨어진 농가들은 1년전의 농특산물 가격에 따라 작물을 재배하는 반복된 실정이 과잉생산을 불러 폐기농사가 연례 행사가 되고 있다. 그렇다고 농민들에게 농사를 포기하라고 할 수는 없다. 농민들이 논밭에 심을 작물이 없다면 그처럼 답답하고 암흑한 미래가 어디 있겠는가?

행정은 노동력 감소 일환으로 기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함께 수반해야 하는 부분이 농산물 판로 확보이다. 어렵게 친환경농산물 상품을 만들어 놓고도 갈아 엎는 농민의 심정을 이해하려 든다면 우리 지역 자체 소비촉진 할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당장 향우 네트워크를 구축한 애향심 발로의 농산물 판로확보와 더불어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축수산물은 지역에서 소비하는 이른바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 전개가 정부정책보다는 더 현실적으로 농가에 도움을 줄수 있다고 생각된다.

농민들도 이제는 농협들과 계약재배 확대를 해야하고, 행정은 학교급식에 들어가는 농산물 수급량을 파악해 농가와 안정적인 계약 생산, 그리고 관내 식당들에 대한 지산지소 운동 전개이야 말로 벼랑 끝에 몰린 농민들이 그나마 숨통이 틀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