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탐방> ‘스토리’가 관광자원이다

본지는 무안지역 ‘스토리텔링’ 발굴 일환으로 지역의 전설 및 마을 유래담을 연재합니다.(마을탐방은 무안향토사연구소 백창석 소장의 현장 탐방 기고로 이루어집니다) -편집자주-

龍井里는 현경면 소재지에서 해제 쪽으로 4㎞ 정도 떨어져 있으며 남으로는 봉대산을, 북으로는 함해만의 바다를 끼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함평현 다경면에 속했다가 목포부 다경면의 지역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재동 월두리 신촌 수양촌 일부를 합해 용정리라 하여 무안군 현경면에 편입시켰다.

한 마을 앞에 샘이 있어 용샘 또는 용정골이라 하였는데 이것이 里의 지명이 되었다. 용정리는 바다로 둘러 싸여있는 배산임해 지역으로 농경지는 골짜기를 따라 펼쳐지고 있으며 새터 용정골 월두 성재동 봉대 등 5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자료에는 조선시대 이곳에 옹산원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아는 사람이 없어 확인할 수 없었다. 

 ▲봉대산 밑의 마을

봉대는 용정5리에 속한 마을로 조선시대 봉화를 올렸던 봉대산(옹산이라고도 함) 아래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봉대 밑 또는 봉오재 마을이라고도 한다. 봉오재는 마을에서 오류리 사교 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를 지칭하는 이름인데 왜 봉대재라 하지 않고 봉오재라 하는지 이유를 물었더니 아는 주민이 없었다. 단지 추측키로 봉대산 아래의 다섯 마을이 있어서 봉오재라 하지 않았는가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봉대는 용정5리에 속한 마을로 조선시대 봉화를 올렸던 봉대산(옹산이라고도 함) 아래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봉대 밑 또는 봉오재 마을이라고도 한다. 봉오재는 마을에서 오류리 사교 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를 지칭하는 이름인데 왜 봉대재라 하지 않고 봉오재라 하는지 이유를 물었더니 아는 주민이 없었다. 단지 추측키로 봉대산 아래의 다섯 마을이 있어서 봉오재라 하지 않았는가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이 산에 벌[蜂] 집 형태의 명당이 있어 蜂宇山이라고도 불렀는데 봉우산이 변하여 봉오산으로 그리고 봉오재라 변했다 하나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이 마을의 입향조는 뚜렷하지가 않다. 조선시대 옹산원(院-고려와 조선시대 주요 도로 상에 여행자를 위해 설치한 여관)이 있었다 할 정도로 번화가였기 때문에 주민들의 이동이 잦았다. 해서 처음엔 장씨 유씨 정씨 등이 살았다고 하나 지금은 살지 않고 파평윤씨 죽산안씨 박씨 등이 살고 있는데 이중 어느 성씨가 먼저 이 마을에 정착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

문헌을 통해서 마을의 유래를 살펴보아도 확인하기 어렵다.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함평현 다경면 烽臺里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1912년과 1917년 일본인이 만든 전국면리동일람 등 자료에는 이 마을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다 1987년에 가서야 무안군 현경면 용정리 奉台로 나오는데 한자표기가 틀려 있었다.

이렇게 마을의 입향조나 유래를 알 수 없는 것은 이 마을이 갖는 지리적인 위치 때문에 그런 것으로 여겨진다. 이 마을은 봉오재 또는 저승재라 부르는 고개 아래에 있다.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길에 위치하다 보니 머무는 주민보다 나그네성 주민들이 많이 살아 마을로서 자리잡기 어렵지 않았을까 여겨진다.

또한 주민들도 광복 이후에서야 비로소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일제 강점기 때 마을에서 넓은 농장과 주조장을 운영했던 일본인 사사끼가 일본으로 돌아가면서 당시 집사로 있던 두동 살던 안동규씨에게 자신이 소유하고 있었던 많은 토지와 주조장을 넘겼다.

광복 이후 적산 재산으로 분류되었던 일본인 소유의 토지들이 정부의 불하 조치로 합법화되어 개인들에게 등기 정리되면서 많은 토지를 불하받았던 안동규씨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토성목과 운저리 보리밥이 유명하다

현경면 송정리에서 마을로 넘어오는 길목에 토성목(土城목)이라는 지명이 있다. 이곳은 현해로를 사이에 두고 함해만의 바다와 서해 바다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곳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은 이곳을 파서 운하를 만들려고 하였다. 당시에 상당할 정도로 공사가 진행되었으나 광복이 되면서 이 공사는 중단되었는데 그때 퍼냈던 흙이 마치 성벽과 같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성벽은 한국전쟁 때 좌익세력과 경찰과의 대치 전선이기도 하였다. 많은 사람이 이곳에서 죽기도 하였으며 한 경찰은 좌익의 총알을 맞아 부상을 입기도 하였다. 얼마 전까지 이곳에는 군부대가 주둔했었고 검문소가 있기도 하였다.

무안에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운저리회가 유명하다. 단순히 회만 아니라 회를 먹고 난 후 운저리 보리밥도 유명했는데 이 마을이 운저리 보리밥의 출발지였다.

당시 이곳에서 운저리회를 팔던 식당 주인이 건강 때문에 보리밥을 먹어야 했는데 그것을 우연한 기회에 손님들에게 내놓으면서 운저리 보리밥이 유행하게 됐다. 이 마을 앞 갯벌에서 운저리를 비롯한 낙지 게 굴 숭어 등이 많이 잡혔는데 이중 운저리를 이용한 회와 보리밥 음식이 성황을 이루면서 많은 식당들이 들어서게 되었다.

마을 앞 길 건너에 당산나무라고 부르는 수형이 잘 잡힌 소나무가 있다. 간척지 둑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인데 원래는 세 그루가 있었다.

그런데 간척지에서 농사를 짓던 농부가 두 그루의 나무를 베어버렸다. 농사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에서였다. 그 일이 있고 난 후부터는 그 집에 우환이 끊이지 않아 계속해서 어려운 일만 겪었다고 한다.

이 마을은 33가구가 거주하고 있는데 이중 27가구가 상업에 종사하고 있다. 용정리 수양리로 들어가는 길목에다 해제로 가는 중간 기점의 중요한 길목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번화가에 위치한 마을이다. 무안군여성농업인센타와 백련요양원 황토랑유통공사 등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 마을 토지의 대부분은 외지인 소유다.

마을 앞에 죽산안씨 공원이 있다. 이곳에는 얼마 전에 지은 죽파정을 비롯하여 몇 기의 죽산안씨 가문의 비가 서있다. 마을에서 새터로 넘어가는 잔등에 문중묏갓이라고도 부르는 바우백이가 있다. 죽산안씨 문중 소유의 산인데 이곳에 4기의 크고 작은 바위들이 놓여있다.

이중 제일 큰 바위는 폭이 1미터80, 길이가 2미터60이 되는데 고인돌이다. 무안군여성농업인센타 앞에 있는 산이 대머리산이며 마을 앞 바다를 갯바닥 뻘바탕이라고 부른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