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농민들이 벼 수확기를 맞아 쌀값인상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서고 있다.

매년 이맘때면 반복되는 추투(秋鬪)려니 여길 수도 있겠다. 하지만 농민들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그들이 왜 아스팔트 위로 뛰쳐나오는지는 이해가 간다.

‘농자천하지대본’농업이 산업화에 밀리면서 국가간 경제논리로 천대받기 시작했다. 90년대 들어서는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이후 외국산 농산물이 밥상까지 차지하고 앉았다. 이 과정에서 우리 농산물은 값비싼 농산물로 인식됐다. 특히, 한·유럽 FTA 협정은 축산농가에 이미 찬바람을 예고했고, 최고의 수출시장 미국은 오는 12일 한미 FTA 국회 인준 카운트에 들어가 농업을 벼랑 끝으로 몰고 있다.

상황이 이러해도 정부는 치솟는 공공물가를 잡는다며 농업에만 채찍을 가했다. 시장 자율경쟁에 맞긴다던 정부가 공정거래법을 스스로 어겨가며, 2009년산 공공미를 방출해 시세보다 3% 싼 가격으로 쌀값을 떨어뜨려 수확을 앞둔 농민들의 분노를 키웠다. 그리고도 올해 공공비축미곡 우선지급금을 지난해와 같은 4만7천원 수준에서 결정했다. 당연지사 농민들은 생존권 차원에서 추수의 기쁨도 잊은 채 길거리로 나설 수밖에 없다. 무안군농민회도 지난 5일부터 2011년산 공공비축미 수매와 관련해 생산비 수준으로 수매가인상을 요구하며 무기한 수매거부 투쟁을 선포하고 정부 공공비축 수매거부에 들어갔다.

농민들은 물가상승률과 인건비 상승분을 감안하면 현재 나락값이 8만원이 돼도 2004년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생산비도 못건진다는 농민들의 심정을 이해가 된다.

절박한 심정은 축산농가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리스 등 유럽발 금융위기 확산으로 치솟은 환율에 곧 오를 사료값 걱정이 이만저만아니다. 환율 급등이 지속될 경우 사료값 인상이 불가피해 소값 하락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축산농가들의 마음을 더욱 무겁게 하고 있다. 현재 축산농가들은 소 한 마리 팔면 최고 200만원 손해난다고 한다. 때문에 농민들과 축산농가들은 다가오는 연말 원금이자 상환이 걱정이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