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탐방> 스토리가 관광자원이다

鳳山里는 몽탄면 소재지에서 동북쪽으로 6㎞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는 함평군 엄다면과 경계를 이루고, 남으로는 영산강이 있어 나주군 동강면 월송리로 건너가는 신설포 나루가 있다. 본래 무안군 석진면 지역으로 1910년 목포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창, 기룡동, 기동, 반암리, 사동, 상주촌 등 각 일부를 병합하여 무안군에 편입됐다. 1939년에 무안군 몽탄면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기동, 옥반동, 기룡동으로 이루어졌다. 기동에 조선시대 해창과 신설포가 있었으며 기룡동 마을에 밀양박씨제각과 전주최씨제각이 있다.

 

 

 ▲말의 형국을 갖고 있는 지세가 용처럼 비상하는 형국

기룡동은 봉산3리에 해당하는 마을로 밀양박씨 집성촌이다. 마을 이름의 유래는 말의 형국을 갖고 있는 지세가 용처럼 비상하는 형국이라 해서 騎龍洞이라 한다.

주민들은 마을 앞에 자리하고 있는 나주오씨의 산이 말 안장의 지형을 갖고 있는데 용처럼 승천하는 형국의 명당터라 생각하고 있다.

문헌으로 지명의 변화를 보면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무안현 석진면 騎龍洞, 1912년에도 석진면 騎龍洞, 1917년에는 석진면 봉산리 騎龍洞으로 나오나, 1987년에는 몽탄면 봉산리 起龍洞으로 한자가 바뀌었다.

이렇게 된 이유를 묻자 주민들이 말과는 상관없이 지세가 용이 일어나는 형국이기 때문에 騎에서 起로 바꿨다는 것이다.

입향조는 朴瑞南(자-명국, 호-퇴우정. 1459-1539)이다. 선대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했다가 미움을 사 세거해 왔던 경기도 고양에서 전북 김제로 옮겼다가 이 마을로 들어 왔다. 지금까지 이 마을의 입향조는 이 분의 아들인 박 눌 공으로 알려졌다.

무안의 성씨자료나 마을유래지에서도‘입향조는 밀양박씨 박눌(호-구암. 1516- ?)로서 경기도 고양 원당에서 살다가 할아버지 박심문이 세조 찬탈에 반대하다가 화를 입은 뒤 외조부를 따라 이 마을에 정착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박서남 공이 입향조라 주장하였다. 공은 문과시험에 합격하여 여러 벼슬을 거쳤는데 부여현감과 경주 부윤을 지내기도 하였다.

무안에서 밀양박씨들의 입향조로는 이 분이 가장 먼저 들어왔다. 해서 예전에 이 마을에서 시제를 모실 때는 무안 각지에서 밀양박씨들이 모두 참여하였다.

공은 전북 김제에서 몽탄으로 올 때 처음엔 마을 앞에 있는 하동창이란 곳에 자리를 잡았다. 그러다 이 마을로 들어오게 되었는데 당시 이곳은 절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도 절이 있었던 곳을 파면 기와조각 등 예전의 건물 잔해들이 나오고 있으며 그때 사용했을 것으로 짐작되는 옹달샘이 남아 있다.

▲五洞之間 避難地


마을은 몽탄면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고 함평군 엄다면 영흥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연징산과 우명산의 맥을 이은 응달뫼라 불리는 뒷산과 나주오씨 소유인 안산이 마을을 감싸고 있는데 마을 터로는 약간 좁은 느낌이 든다. 五洞之間 避難地로 알려진 이 마을은 기동 사동 옥반동과 함평 엄다 영흥리의 흥룡동 용호동 등 지명에‘洞’이름이 들어간 5개 마을로 둘러싸여 있다.

해서 나라의 크고 작은 변란에도 이 마을 주민들은 전혀 피해를 보지 않았을 정도로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이 마을은 길과 관련이 깊다. 조선시대에는 마을 뒤로 해창 가는 길이 있었고 마을 앞으로는 하동창으로 가는 길이 있었다. 또한 근대에서는 마을 뒤로 호남선 철도가 지나갔었고 요즈음에는 마을 앞으로 안산을 가르며 호남선 고속철도가 지나가고 있다.

 또한 함평 엄다로 가는 일반 도로가 마을 앞을 지나고 있다.

마을 옆에 서당골이라 부르는 곳이 있다. 서당골은 서당이 있었던 곳을 말하는데 마을에서 끊이지 않고 학문이 높은 선생님이 나와 서당을 차리고 주위 사람들을 가르쳤다.

주변 사람들이 이 마을을 문헌방이라고도 부르는데 예전부터 학자들이 많이 배출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함평 엄다 일대는 물론이고 몽탄면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학문을 배웠다.

특히 초대 대법원장을 했던 김용무씨도 이곳에서 기초 학문을 닦았다고 한다.

예전에는 마을 앞 정자 옆에 아름드리가 넘는 팽나무가 있었다. 주민들은 이 팽나무를 보고 잎이 무성하게 자라면 그 해의 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하지만 오래 전에 팽나무는 고사되고 그 자리에는 현재 새로운 나무가 자라고 있다. 지리적으로 함평군에 가까이 있어 불편이 많았다.

특히 농지의 대부분이 함평군 엄다면에 소재하고 있어서 행정적으로 많은 손해를 입고 있다고 한다. 마을 출신 인사로는 교육감을 비롯하여 감사원 감사관, 통일부 과장, 전매서장 등 많은 동량들이 배출되었다.

마을 앞 마을회관 옆에는 4기의 비석이 서 있다.‘서우밀양박공연태효행비’‘부윤밀양박공서남추모비’‘첨지중추부사원종공신박눌유허비’‘추강박공춘상기적비’ 등이 있으며 담벽을 사이로 연자방아가 반쯤 묻혀있다.

 마을 뒤에는 밀양박씨 제각인 화수정이 있다.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2개의 현판이 있으며 1935년에 건축하였다. 서당골 주변에는 전주최씨 제각도 있다. 마을 앞들에는 선돌이 서 있다. 이 선돌은 액막이용과 마을 수호신으로 주민들의 사랑을 받아왔는데 원래는 두 개였으나 하나는 공사 때 없어지고 현재는 한 개만 남아있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