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탐방> ‘스토리’가 관광자원이다

본지는 무안지역 ‘스토리텔링’ 발굴 일환으로 지역의 전설 및 마을 유래담을 연재합니다.(마을탐방은 무안향토사연구소 백창석 소장의 현장 탐방 기고로 이루어집니다) -편집자주-

柳橋里는 삼향면소재지에서 3㎞ 가량 떨어져 있다. 광주-목포간 도로의 목포 방면 중 중등포에서 좌회전하여 들어가면 유교리와 만나게 된다. 동으로는 관동저수지가 있고 서로는 중등포 간척으로 생긴 농경지가 있다.

이곳은 본래 나주군 삼향면 지역으로 버드나무 다리가 있으므로 유교 또는 유교동이라 하였다. 1895년 무안군에 편입되었고 1910년 목포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군산동, 석정리, 성재동, 운악동, 청룡동, 석교리, 운흥동과 원동, 중등포 응석동의 각 일부를 합하여 유교리라 해서 다시 무안군에 편입되었다. 2007년에 유교2리에서 분리된 관동 마을과 함께 현재는 석교, 청룡, 군산동, 유교, 중등포, 원동, 관동 등 7개 마을로 이루어졌다.

유교 마을에 전통가옥인 나상열가옥과 나주나씨 제각인 침계정이 있으며 군산동에 나주임씨 제각인 영유재가 있다. 또한 원동에는 나주나씨 제각인 경앙정과 구산재가 있다.

▲ 원동마을 전경

▲山城과 院이 있었던 마을

이 마을은 유교3리에 속하는 마을로 예전에 院이나 객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마을이다. 院은 공적인 임무를 띠고 지방에 파견되는 관리나 일반인 또는 상인 등 여행자에게 숙식 편의를 제공하던 조선시대 공공 숙소이다.

이렇게 보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이 마을의 지형적인 요건이 중등포를 앞에 두고 있는 마을이란 것이다. 포구는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이다.

두 번째는 마을 앞으로 함평이나 한양으로 가는 길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마을 앞에 하마석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 하마석은 나주목의 목사가 마을 옆에 있는 왕산리 봉수산의 봉화대를 점검하거나 순시할 때 사용했던 돌로 추정하고 있었다.

이런 여건을 봤을 때 마을이나 주변에 원이나 객사가 있었을 것은 쉽게 추정할 수 있다. 문헌으로 이 마을 이름의 변화를 보면 1789년의 호구총수에 나주목 삼향면 院洞村으로 나온다. 이후 1912년의 문헌에는 무안군 삼향면 元洞으로, 1917년 이후부터는 삼향면 유교리 元洞으로 나온다. 또한 나주나씨 족보에도 처음에는 院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원래 마을 이름이 院洞이었으나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인들에 의해서 元洞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마을에 처음 들어온 성씨는 신안 주씨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전남예술고등학교가 있는 곳이 신안주씨 선산인데 이 학교의 설립자도 신안주씨 주장원이다. 하지만 자료가 없어 신안주씨에 대한 자세한 내력을 확인할 수가 없다.

나주나씨 입향조는 羅天一(자-원로, 호-이청. 1688-1754)이다. 공은 옆 마을인 임성리 신기에서 살기 좋은 곳을 찾아 이 마을에 왔다. 공은 학문이 깊고 성품이 도저해 주위의 명망이 높았으며 이 마을에 은거하여 영리나 명예를 추구하지 않고 후학들 교육에 힘썼다. 마을유래기나 마을회관의 마을 형성 내역에서 공이 1644년에 이 마을로 들어왔다는 것은 임성리 신기 마을의 나주나씨 입향연대를 잘못 알고 기록한 것이다.

▲배출된 인물이 많고 자랑거리가 많은 마을

마을은 와우형의 지형을 띠고 있다. 입구에서 보면 지극히 좁아 불편한 느낌을 주지만 안에 들어가서 있어 보면 의외로 아늑하고 편안한 느낌을 갖게 해준다. 뒤에는 山城峰이 받치고 있으며 앞에는 안산이 자리하고 있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산성봉의 9부 능선에 성터의 흔적들이 많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지금은 숲이 우거져 확인할 수 없지만 예전에는 성돌도 많이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비가 오지 않을 때는 이 산에서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마을 뒤 성뫼너머라고 부르는 곳의 밭에서 오래된 기와조각이 많이 발견되었다. 밭을 경작하는 주민의 말에 따르면 그 기와에는 문양이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시간이 오래 지나 뚜렷이 기억할 수는 없지만 용과 같은 동물의 형상이나 나뭇잎의 모습이었다고 한다. 조선시대 이전의 삼향에 대한 자료가 없어 이곳에 城이 있었다는 기록을 찾을 수는 없지만 지리적인 여건으로 보았을 때 방어시설이나 다른 시설로 산성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마을엔 자랑거리가 많다. 마을이 좁기 때문에 이렇다 할 농지가 없다. 해서 주민들은 근면해야 했고 부지런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부지런함이 교육열로 이어져 이 마을엔 많은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고시합격자를 4명이나 배출했고 교육장 치안감 등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주도적인 인물들이 많이 나왔다. 특히 무안군의 과장(사무관)으로 현재 두 명이나 재직하고 있다.

청정 마을이다. 물이 맑을 뿐 아니라 축사나 오염시설이 없어 공기가 향기롭기까지 하다. 장수마을이다. 주민들과 함께 80세 이상의 활동하는 노인을 세어보니 마을 세대가 32호에 불과한데도 15분이나 되었다.

마을엔 윗샘과 아랫샘이 있었다. 특히 아랫샘은 수량이 풍부해 60년대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일정한 수량을 유지했던 샘이다. 해서 정월 보름만 되면 물을 지키기 위해 전쟁을 치러야 했다. 청룡 중등포 마을 등 물길이 좋지 않은 인근 마을에서 물을 가져가기 위해 모든 주민들이 속칭‘물 타러 왔기’때문이다. 이때가 되면 마을의 모든 주민들이 나서 언덕에서 횃불을 켜들고 물을 지켰다는 것이다. 윗샘에는 아름드리의 구수나무가 있었으나 고사되어 지금은 없다. 나무 밑에는 들독도 있었으나 도로 공사 중 없어졌다.

지형이 좁기 때문에 마을길은 하나 뿐이다. 도로명이 으뜸길인데 이 길을 중심으로 좌우로 가옥들이 들어서 있다. 우리 지역 어느 마을에서도 볼 수 없는 깨끗한 환경과 잘 다듬어진 가옥들은 독특했다. 또한 화합이 잘되어 주민들 간에 얼굴을 붉힌 일이 없었다고 한다.

▲열린터엔 예술고등학교가 있어

▲ 원동마을 동계 책
마을에 전남예술고등학교와 삼향농협 북부 지점이 있다. 전남예술고등학교 있는 곳은 개장터라 불린다. 개장터는 열린터란 의미를 갖고 있는데 지명이 예견한 것처럼 각지에서 학생들이 모여 열린 터를 이루고 있다.

남아있는 지명으로 샘골과 남경 자동차 학원이 있는 오막실 그리고 농협 뒤 태매와 구레 등이 있으며 마을회관 앞을 천석군 터라고 한다.

마을에 오래 전부터 정리해온 동계책이 남아있다. 원래는 그 전부터 기록해온 책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1권은 잃어버리고 1958년부터 기록한 2권과 3권이 남아있다. 대개 12월 하순에 동계가 이루어지는데 주민들이 돌아가면서 두 가구씩 유사를 보고 있다.

나주나씨 제각이 두 개 있다. 마을 입구의 경앙정과 농협 지점 뒤 구산재가 그것이다. 경앙정은 정면3칸 측면 1.5칸의 팔작지붕으로 4개의 주련을 걸고 있다. 문이 잠겨 있어 내부를 확인 할 수는 없지만 제각 앞에는 열행비와 기행비 등 두 개의 비가 서 있다. 구산재는 1943년에 건축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4개의 주련이 있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경앙정 주변에 고인돌이 3-4기가 있다고 하나 확인하지 못했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