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철을 앞두고 우리 지역의 농가와 축산, 수산 어가들이 총체적 난국에 빠지는 모습이다.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까지만 해도 농축수산물이 그런 대로 가격 지지가 돼 큰 소득은 아니었어도 푸념은 크지 않았다.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암울하다. 소득이 안 보인다.

지난해 가을과 겨울 채소값 파동으로 수입까지 불러 왔던 양파 등은 지난 2월을 분기점으로 급락하고 있다. 소·돼지값 등도 내리막길을 걷는 것과 달리 사료값 상승으로 축산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농협 전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3월 ℓ당 818원이던 농업용 면세유 경유 가격이 1년 사이 1130원으로 38.1%나 급등했다. 휘발유 값도 ℓ당 780원에서 1020원으로 30.8%가 올랐다. 국제유가가 치솟으면서 면세유 가격도 동반 상승, 농자재 값 급등으로 이어져 농기계 가격과 농약, 비료 값 역시 4∼7% 이상 올랐다. 인건비도 오르는 추세이다.

이에 반해 농산물 가격은 뒷걸음질이니 농민들로서는‘겹시름’이 아닐 수 없다. 최근 무안군이 조생양파 사주기 운동을 전개할 만큼 양파값은 형편없다. 오이, 배추, 감자 등도 최고 37∼22%까지 추락했다.

전남 2위 규모를 자랑하는 축산농가들은 지난 겨울 발생했던 구제역이 종식되나 싶더니 최근 다시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떨어지는 소·돼지 가격에 불똥이 튀고 있다.

양봉농가들도 겨울 한파로 피해가 발생하더니 지난해 발생한‘낭충봉아부패병’으로 인해 이맘때 분봉작업으로 눈코 뜰새 없이 바빠야 하지만 주변에 날아다니는 벌도 사라졌다고 한다. 이렇게되면서 벌을 통해 자연 수정해야 하는 과수농가들에게 불똥이 튀고 있다.

여기에 수산업 종사자들도 피해는 마찬가지이다. 면세유값 인상 속에 배를 띄워도 예전만큼의 고기가 잡히지 않는단다. 김 양식어가는 2009년 이후 급속히 번지고 있는‘김황백화’로 수확을 접는 등 급기야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실정에 이르렀다. 낙지도 예전처럼 잡히지 않고, 한때 낙지 대용으로 많이 잡혔던 쭈꾸미도 예전 같지 않다는 게 어민들의 하소연이다.

결국 영농철을 앞두고 농수축산 모두가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 지금의 상황이 지속된다면 올해를 지나면 농가들의 채산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 뿐이다. 농사짓기가 겁이 난다는 볼멘소리가 그냥 하는 말이 아닌 듯 싶다.

그렇다고 군민 70%가 1차 산업에서 소득을 올리는 현실을 남의 일로 치부할 수도 없게 됐다. 주먹구구식 탁상공론의 반복적 정부 행정에 기대를 걸 수도 없다. 농축수산의 불황은 곧 우리에게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게 되어 있다.

이러한 때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축수산물은 지역에서 소비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운동을 적극 펼쳐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행정이 주도하여 관내 식당들과 연계해 일일 식재료를 관내생산 농가에서 공급받는 자급자족적인 지역내 지산지소 생산·소비시스템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 곧 지산지소 운동은 유통구조를 단순화시켜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장점으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행정이 앞장 서 향우회에 지역 농산물을 팔아 달라는 호소문도 필요하다. 정치인들도 개인의 입신만을 위해 립서비스식 일회적 농정만 외칠 것이 아니고 지금은 발 벗고 나서야 한다.

아울러 농민들의 의식도 개선돼야 하지만 고령화 된 농정실정에서 하루아침에 작목전환 등의 농업변화를 가져 올 수 없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우리 군은 기술센터의 역할 강화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작물 재배 연구들도 서두를 필요가 있다. 언제까지나 전국 최대 양파주산단지를 자랑할 수 없고, 축산 역시 청정을 자랑하며 소득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는 농축산물이 농민들의 수익 차원을 떠나 국가 물가 관리에 핵심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농업용 면세유나 농자재 및 농기계 등 적어도 인상분 만큼의 영농비 보조는 필수적이다. 소비자 가격 상승의 고질적 요인인 농산물 유통 구조 개선도 더 이상 머뭇거려선 안 된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