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탐방> ‘스토리’가 관광자원이다

본지는 무안지역 ‘스토리텔링’ 발굴 일환으로 지역의 전설 및 마을 유래담을 연재합니다.(마을탐방은 무안향토사연구소 백창석 소장의 현장 탐방 기고로 이루어집니다) -편집자주-

任城里는 삼향면소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족산, 전봉산, 오룡산 그리고 목포의 양을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마치 성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 남쪽으로는 전남 도청이, 서쪽으로는 목포시 석현동과 접해 있다. 신기, 대안동, 종월촌, 상용, 과동 용강 등 6개 마을로 이루어진 이곳은 본래 나주군 삼향면의 지역으로 1895년에 무안군에 편입되었다. 이후 1910년 목포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후치동, 대안동, 상룡동, 기동, 과동과 용서동, 신기동, 계량동, 용강리의 각 일부를 합하여 임성리라 해서 다시 무안군에 편입되었다. 문헌 중 동국여지승람과 세종실록지리지에 임성부곡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신기 마을에 금화재, 대안동에 10여기의 고인돌이 있다.

▲ 종월촌마을 전경

▲달과 관련된 이름의 마을

▲ 종월촌 쇠뚝의 소나무
종월촌은 임성3리에 해당하는 마을로 종월촌 새동네 동산 등으로 이루어졌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후치라 불렸으나 주민들이 원래의 이름이었던 현재의 이름으로 바꿨다. 마을 이름의 변천과정을 보면 1789년의 자료인 호구총수에는 나주목 삼향면 終月村으로 나온다. 이후 1912년에 무안군 삼향면 후치로, 1917년에는 무안군 삼향면 임성리 후치동으로 나온다. 

마을이 초생달 형국이다. 지금은 개발로 인해서 뒷산이 없어졌지만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삼향면 파출소 뒤에서부터 전봉산까지 뒷재라 부르는 능선이 마을을 둥그렇게 감싸고 있는 모습이었다. 뿐만 아니라 뒷재봉에선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해서 지명에‘月’자가 들어갔다. 주민들은 鍾月村으로 알고 있었지만 문헌에는 終月村으로 나온다. 그러나 어떻게 해서 終月村 또는 鍾月村으로 사용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추정컨대‘終’의 의미가 마땅치 않아‘鐘’으로 바꾸지 않았는가 여겨진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들어서 後峙라 했다. 마을 뒤에 있었던 뒷재를 한자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 마을유래지에는‘처음엔 鍾月村이라 불렀고 마을터는 종터라고 했다. 일제강점기 때 마을이 폐촌이 되었는데 후일 폐촌의 이유를 마을 이름 때문에 그랬다 여기고 後峙라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입향조는 밀양박씨 朴貴男(자-景休, 호-南隱, 1576 - ?)이다, 공은 경북 풍기 대동에서 세거하다 임진왜란을 피하여 이 마을에 들어왔다. 자료에 따르면 공은 어려서부터 뛰어난 자질을 갖추었으며 학문에 몰두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겼다. 또한 부귀나 명예를 추구하지도 않았다. 마을유래지에는 1780년에 만들어진 동계가 있었다고 하나 주민들은 모르고 있었다.

이 마을은 일제강점기 때 면사무소와 주재소가 있어 삼향면의 중심지역이기도 했다. 현재는 남악리에 전남 도청이 들어서면서 역세권 개발의 기대에 차 있다.

▲부업으로 통발망 만들어

▲ 주민들의 부업인 통발망
마을에 두 개의 바위가 있었다. 그중 하나는 마을 안에 있는데 팽나무와 함께 있었다. 예전에 마을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왔을 때 닻줄을 맸던 계선주 역할을 했던 바위다. 바다가 막히고 나서는 마을의 중심나무로 마을의 안녕과 액운을 막기 위한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른 마을의 사람까지 찾아와서 나무와 바위 앞에 제물을 진설하고 굿과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땅 주인이 베어버렸다.

또 하나는 811번 삼일로에서 들어오는 입구에 서 있었다. 바위의 형상이 두꺼비 모양이어서 두꺼비 바위라고 했다. 두꺼비 바위는 맞은편 박조시라 부르는 곳의 사두혈과 서로 마주 보고 있다. 즉 뱀이 두꺼비를 잡기 위해서 머리를 쳐들고 있는 모습이다. 그 혈자리에 나주나씨들이 묘를 썼는데 상석과 망주석 등 석물을 해 뱀의 머리를 누르고 있는 형국이 되었다. 해서 주민들은 명당자리인데 석물을 해서 발복을 누르고 있다고 여기고 있다. 실지로 나주나씨 집안이 이곳에 무덤을 쓴 이후부터 안 좋은 현상들이 많이 일어났다고 한다. 이 두꺼비 바위는 길이 확장되면서 사라졌다.  

마을회관 옆에 팽나무가 있다. 주민들이 소중하게 가꾸고 있는데 한때는 이곳에 금줄을 치고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또한 들독도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마을 앞 쇠뚝이라 부르는 곳에는 수십 그루의 소나무 가로수가 있다. 이것은 마을의 지형이 흉사가 자주 일어날 형국이어서 액운을 막기 위해 비보개념으로 1920년대부터 심은 것으로 현재는 훌륭한 방풍림 구실을 하고 있다.

한국전쟁 때 이 마을도 주민들이 피해를 보았다. 마을에 좌익운동을 했던 사람이 있어 그 영향을 받았다. 또한 일부 젊은이들은 전쟁 중에 월북한 사람들도 있었다.

마을에 김광수 일가의 천석꾼이 살고 있었다. 일로에서 대장간을 하다 이 마을에 들어와서 부자가 된 사람인데 이 집에서 모내기나 벼베기 등 농사일을 할 때면 주변의 5개 마을 주민까지 일손을 놓고 이 집의 일을 거들었다. 왜냐하면 이때만큼은 푸짐하게 음식을 먹을 수 있었기 때문에 웬만한 가정에서는 모든 식구들이 나서서 함께 했던 것이다. 하지만 주인이 죽고 난 후 그 많던 재산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리고 현재는 집터만 남아있다.

농한기가 되면 주민들은 통발망 만들기에 겨를이 없다. 부업으로 짭짤한 수입을 올리고 있는 통발망 만들기도 국가 안보에 민감한 사항이 발생하면 그에 영향을 받는다. 실지로 작년에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이 터지면서 한동안 일감이 없었던 것이다. 다행히 그런 기간이 오래가지 않아 지금은 활발히 부업활동을 하고 있다.

선삼들이라는 지명이 있다. 큰길에서 마을로 들어오는 주변을 말하는데 예전에 그곳에 섬처럼 몇 가구가 살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