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시 쏟아진 폭설과 물가 고공행진이 새해 벽두부터 온 국민을 고통 속으로 몰아 넣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 시작된 구제역, 조류독감(AI)은 정부가 최고수준인‘심각’단계 위기까지 발표할 만큼 우리나라 축산·양계농가들을 패닉상태로 빠뜨리고 있다.

현재 각 지자체를 비롯한 양축·양계농가들은 초긴장하며 예찰, 방역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불안을 지울 수가 없다. 무엇보다 정부가 구제역 확산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확산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매몰되는 소·돼지·오리 등에 대해 2차 오염은 차제에 논하더라도 매몰시킬 곳이 없다고까지 할 정도라니 피해가 얼마나 심각한지는 짐작할 수 있다.

지난 7일 오전 정부 발표에 의하면 구제역으로 매몰 가축이 100만마리를 넘어섰다. 소가 9만7,524마리(2,472농장), 돼지 97만4,469마리(469개 농장), 2천214마리(107농장), 사슴 808마리(48농장)다. 구제역 확산 지자체도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충북 등 6개 시·도, 45개 시·군으로 계속 늘고 있다.

그런데도 지금 대책은 철저한 방역 밖에 없다고 한다. 자연 소멸을 바라지만 추위에 강하다는 구제역과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날로 확산되고 있다. 자칫 이대로 설날 이전까지 간다면 인구 대이동을 맞아 양축·양계농가는 최악의 상황에 치닫을 수도 있다.

다행히 지금까지 전남·북지역은 구제역으로부터 안전하다. 끝까지 지켜만 낸다면 호남은 축산 청정지역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신뢰 가치를 높여 나갈 수 있는 전화위복의 기회라고 보여진다.

지난 7일에는 엎친 데 덮치는 꼴로 무안과 인접한 영암에서 조류독감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인근 지자체들에서 조류독감 의심증상이 계속 신고 접수되고는 있지만 이 또한 확실한 방역만 이뤄진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보여진다.

때문에 지금은 온 국민이 협조해 구제역과 조류독감 확산을 막을 때이다. 이를 위해 축산농가 방문 자재와 사람들이 운집하는 행사 자제가 절대 필요하다. 당장은 축산농가의 피해가 내 피해는 아닌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머지 않아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부는 이번을 계기로 매년 반복되는 구제역과 조류독감에 대한 검역체계부터 축산정책 전반까지 근본적인 재검토를 하고 빈 구멍을 매우는 계기로 삼았으면 싶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