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昌辰 (草堂大 도서관장, 한국 한자·한문 교육학회 부회장)

▲ 김창진 무안신문 논설위원
올해는 大韓民國(대한민국) 정부 수립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를 계기로 과거 우리나라 語文政策(어문정책)을 되돌아보고 미래 어문정책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정부 수립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 어문정책의 핵심은 한글專用(전용)이다. 정부 수립한 해인 1948년에‘한글전용법’을 제정한 이래, 몇 년 전에‘국어기본법’으로 이름은 바꿨지만 그 내용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한글전용법은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또 우리 국어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광복 직후, 우리 국민 중 漢字는커녕 한글이라도 아는 국민은 전체의 10%도 채 되지 못했다. 그런 상황에서 정부는 전 국민에게 일단은 한글이라도 가르쳐야 했다. 그래서 급하게 하루아침에 법률 제6호로 만든 법이‘한글專用法(전용법)’이다. 그 뒤 60년이 지난 이제 한글을 모르는 국민은 거의 없게 되었다. 한국인의 단순 문맹률은 3%대 이하로서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이처럼 우리 국민의 文盲(문맹)을 해소한 점은 한글전용의 큰 功(공)이다.

반면에 한글전용이 우리 국어생활에 否定的(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점도 있다. 그것은 국민의 국어능력이 下向(하향) 平準化(평준화)된 점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이 펴낸‘2004 한국 교육인적자원 지표’에 따르면, OECD“국가 문서 해독 능력 비교”에서 한국이 OECD 22개 국가 중 최하위인 22등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OECD“국가 문서해독 능력 비교”는 실생활에 쓰는 일상적인 문서내용을 해독하는 능력을 비교한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글자해독 능력을 보여주는 단순 문맹률보다 문서해독 능력을 보여주는 실질 문맹률을 훨씬 더 중요한 국어능력 지표로 본다. 여기서 한국이 꼴찌를 했다는 것은, 우리 국민이 한글전용으로 된 글을 읽기는 하되 실제 의미는 잘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곧 한자실력 부족과 한글전용으로 된 글 때문에, 현재 우리 국민의 문서해독 능력이 매우 낮은 것이다.

기업체에서 신입사원들을 뽑는 인사 담당자들도 같은 지적을 하고 있다.

2007년 11월에 잡코리아가 국내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인사담당자들은 신입사원들의 국어능력에 대해“대체로 불만족스럽다”(49.4%)나“매우 불만족스럽다”(10.3%)로 대답했다. 심지어는 신입사원의“외국어능력 부족”(5.5%)보다“국어능력 부족”(18.5%)을 지적한 응답이 3배가 넘었다. 그러면서 인사담당자의 75%는“국어능력이 뛰어난 사원이 대체적으로 일을 잘 한다”고 응답했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나라는 국민의 국어능력을 上向(상향)시키는 방향으로 語文政策(어문정책)을 轉換(전환)해야 할 때가 되었다. 국민의 국어능력을 上向(상향)시키는 방법은 漢字 2000자를 公敎育(공교육)에서 가르치는 일이다. 그리고 글은 國漢字混用(국한자혼용)으로 적게 하는 일이다. 中國은 소학교(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漢字 2000여 자, 日本은 중학교까지 漢字 1945자를 가르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의무교육인 중학교 때까지 전 국민에게 漢字 2000자를 가르쳐야 한다. 韓國語 語彙(어휘)의 70%가 漢字語(한자어)이므로 漢字(한자)를 모르면 국어를 잘 할 수 없다. 국어를 못하면 다른 과목도 잘 할 수 없다. 따라서 공교육 한자 교육은 大韓民國 교육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교육 경쟁력은 곧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 따라서 대한민국이 정부 수립 60주년을 맞아 국가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려면 무엇보다 漢字 敎育부터 시작해야 한다.

대한민국이 60년 전 後進國(후진국) 때의 어문정책을 先進國(선진국)을 바라보는 오늘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은 어리석다. 세상이 변하고 시대도 변했으므로, 어문정책도 국제화시대에 걸맞게 변해야 마땅하다. 우리 국민은 中國人이나 日本人보다 우수하므로 漢字 2000자를 배울 능력이 있다. 정부 당국자의 未來를 내다보는 洞察力과(통찰력)과 世界를 바라보는 大局的(대국적) 眼目(안목)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무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